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남북 공동방역체계 구축 시급”

대책 모색 세미나서 전문가들 한 목소리 지적
“북에 대한 정보 부족…한국, 안전지대 아냐”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아시아 지역에 대규모로 확산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방역을 위해 남북공동방역 체계가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한 목소리로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과 농어업정책포럼은 지난달 25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남북공동방역 제안을 위한 세미나’<사진>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축산·수의업계 전문가들은 더 이상 우리나라도 ASF 안전지대가 아님을 강조하며 남북공동방역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건국대학교 서정향 수의과대학 교수는 “아프리카는 비행기를 타고 가도 열시간 이상 걸리는 먼 곳이라고 여겼는데 어느덧 유럽을 통해 중국, 베트남까지 전파되며 우리나라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며 “ASF는 구제역만큼 전염성이 강하지 않아 공기를 통해 전파되지는 않지만 기계적 전파, 메뚜기, 진드기 등에 의한 전파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ASF가 한 번 발생한 후 무려 1천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다는 점을 미뤄봤을 때 항공·항만을 통한 돈육 및 돈가공식품의 이동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준영 농어업정책포럼 동물방역복지분과위원장은 “ASF가 중국 전역에 퍼진만큼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북한에도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감염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의심이 들지만 알려진 것이 전혀 없다”며 “최소한 중국과의 접경지역에 북한 내에서 자체적으로 소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소독약 지원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체리부로 김창섭 부회장은 “과거 미국이 구제역 차단을 위해 멕시코에 방역관련 용품을 지원해 멕시코도 구제역 청정지역이 된 사례가 있다”며 “방역용품 지원이 막연한 퍼주기 사업이 아님을 염두에 두고 우리나라도 심각하게 고려해볼 일”이라고 말했다.
대한한돈협회 조진현 부장은 “유럽은 ASF가 발생하면 해당국가와의 국경지역의 야생멧돼지를 살처분 시키고 펜스를 친다. 중국에서 발생하자 대만은 긴급하게 대책발표를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방역체계가 발생 이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한돈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조재철 친환경방역부장은 “남북공동방역 체계가 구축된다면 “농협이 보유한 소독차량과 방역인력을 어떻게 매칭할 수 있을지 검토했다”고 말했다.
한국양돈수의사협회 김현섭 회장은 “과거 조지아에서 벨기에까지 전파되는 모습을 봤을 때 수치상으로 1년에 약 200km 전파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백두산 근처에서 발생한 점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도 수치상으로 2년 안에 전파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서울대학교 권혁준 수의과대학 교수는 “통일부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 쪽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강영식 사무총장은 “방역에 필요한 물품을 전달해도 육로로 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통일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방역을 비롯한 북한의 전체적인 축산업 발전을 꾀하는 균형적인 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장재홍 검역정책과장은 “방역쪽으로만 논의한다면 북한에서도 적극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의 축산업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논의가 있어야 북한과의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김훈아 개발지원협력과장은 “지난해 4.17 정상회담 이후 일부분야 교류가 진행이 됐으며 농·축산업은 민간분야에서만 일부 진행됐다. 당국간 협력 경과를 볼 때 본격적인 농축산 협력은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축전염병 관리와 공동방역은 필요한 장비나 약품 지원, 공동방역 체계 마련, 기술력 등을 분야별로 나누어 준비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토론회에서 제기된 ‘상생적 지원’이라는 표현은 대외적으로 설명하기도 좋고 필요한 장비, 인력 등에 대한 콘텐츠가 마련된다면 대북협상에 좋은 전략을 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서울대학교 김재홍 수의과대학 교수는 “앞으로 북한 전문가와의 세미나 등을 통한 정보교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