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차단방역 강화에도 여전한 PED 순환감염 왜?

차량 유기물 제거 소홀…소독 효과 ‘기대난’ 지적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시설 보단 방역 실효성 제고방안·농가 계도 절실


 ASF 발생을 계기로 양돈현장의 차단방역 수준이 높아지면서 돼지질병은 오히려 감소했다는 게 현장수의사나 농가들의 전반적인 평가다. 

과거처럼 특정시기에 다발하는 계절적 질병이 아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시사철 발생해 농가를 괴롭히는 질병으로 변화되고 있는 PED도 그 가운데 하나다. 최근엔 기온이 부쩍 오르면서 그나마 경북과 전북, 충남, 경기 일부 지역에서 회자됐던 PED 발생 소식까지 잠잠해 졌다.

그러나 매년 PED 소식이 들릴 때 마다 빠지지 않던 이른바 ‘PED 상재지역’은 올해에도 어김없이 발생지역으로 이름을 올렸다. 일각에선 차단방역 수준이 한 껏 높아진 상황에서도 PED의 지역화 발생 추세가 꾸준한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수의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은 물론 차단방역에 따른 실제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 현장수의사는 “인공감염을 포함해 농장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백신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다”며 “하지만 내 농장의 차단방역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는지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농가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도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방역시설에 집중하고 있는 정부의 방역정책 기조로 인해 양돈현장의 관심도 시설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막상 농장단계 차단방역의 실효성, 그 중에서도 소독 효과에 대한 검증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언급한 것이다.

또 다른 현장수의사는 “ASF 발생 이후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차단방역이 훨씬 강화된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차량 바퀴 등을 통해 묻어 들어오는 유기물 제거까지 관심을 두는 세심함은 찾아보기 힘들다. 농가들 역시 거점소독시설이나 농장에 설치된 자동화된 소독시설만 믿고 있다 보니 유기물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농장내 차량진입이 이뤄지고, 이는 곧 소독 효과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는 곧 가축 분변에 의해 주로 전파되고 있는 PED가 특정한 지역내에서 회자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소독 효과 저하에 따른 피해가 PED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방역시설 보다는 소독을 포함한 효과적인 차단방역 기술에 대한 농가 계도와 교육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

정부를 비롯한 범 양돈업계가 심각히 고민해야 봐야 할 시점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