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써코백신, 자돈 뿐만 아니라 후보돈·모돈에도 접종해야”

■현장컨설팅 / 이경원 부장(중앙백신연구소)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육성·비육단계 이후도 감염...후보돈·모돈 재감염 위험도

 

이경원 중앙백신연구소 기술마케팅 부장은 자돈 뿐 아니라 후보돈·모돈에도 써코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써코바이러스 백신이 공급되면서 이유자돈 위축과 폐사가 상당 부분 해결됐다”고 전하면서 “그렇지만 써코바이러스 감염이 육성·비육단계 이후로 늦어지고 있다. 더불어 후보돈·모돈 재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 부장은 “모돈이 써코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유산, 수태율 하락, 산자수 저하, 허약자돈 생산 등 많은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PRRS 음성 후보돈이라고 해도 혈액 내 써코바이러스 항원이 양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웅돈 정액을 통해 써코바이러스가 전파된다는 보고도 있다”며 후보돈·모돈에 대한 써코바이러스 질병 해결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 부장은 이유자돈에서 써코바이러스 질병을 막는 것 만큼이나 후보돈·모돈에서 써코바이러스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핵심과제로 떠올랐다고 피력했다.
그는 특히 “산자수를 늘려야만 MSY 등 생산성 개선이 가능하다”며 산자수 증가를 위해 다산성 종돈, PRRS 통제, 심부주입기 도입 등 여러방법이 쓰이고 있지만, 모돈에 대한 써코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가장 빨리, 쉽게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