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농가들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하에 친환경축산 인증을 받거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친환경축산물에 대한 홍보와 농가의 시장교섭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적정가격 결정체계 마저 부재, 시장확대 물론 친환경축산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한돈협회가 한돈자조금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친환경 한돈사육 활성화를 위한 농가지원방안 연구용역’ 결과에서다.
이번 연구를 맡은 친환경축산협회에 따르면 친환경인증 및 비인증 한돈농가를 대상으로 대인면접법을 통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친환경축산업 도입을 찬성하는 이유로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 이라는 대답이 전체 응답자의 58.8%(인증농가 61.1%, 비인증 농가 56.3%)에 달했다.
문제는 지금 상태에선 이러한 효과에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친환경축산협회에 따르면 이번 연구과정에서 소비자들은 친환경 돼지고기 가격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친환경돼지고기 구입의 저해요인으로 41.1%가 ‘가격’을 지목했을 뿐 만 아니라 ‘가격이 오를 경우 재구매를 하지 않겠다는 반응도 평균치를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친환경축산협회는 이러한 현실을 감안, 제한적 소비시장만으로는 친환경한돈과 그 생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친환경축산물 홍보예산 확대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전개, 시장파이를 늘리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생산농가의 시장교섭력이 부족한 만큼 생산자와 유통, 소비자로 구성된 가격산정협의체를 통해 생산자의 적정가격을 산정하고, 생산비와 소비시장 판매가격에 대한 지속적 추적 및 조사자료 공개, 그리고 일반축산물과 차별화된 적정 시장가격 결정체계 구축도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