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낙동강 녹조 원인에 대한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발언이 축산업계에 파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홍준표 지사는 최근 경남도 실·국·본부장 간부회의에서 “낙동강 녹조는 4대강 사업 때문이 아니라 지류와 지천에서 유입되는 축산폐수와 생활하수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녹조는 지류 지천에서 유입된 축산폐수와 생활하수의 질소와 인이 고온의 물과 결합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홍지사는 이어 “소양강댐의 경우 질소와 인을 포함한 축산폐수와 생활하수의 유입이 없어 녹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며 “대청댐은 인근 보은, 옥천, 영동 등지에서 축산폐수와 각종 생활하수가 유입되면서 댐 건설초기부터 여름만 되면 부영양화로 녹조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이른바 ‘4대강 사업’이 녹조발생의 원인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논리를 편 것이다. 이 발언은 당일 각 언론매체를 통해 일제히 전국에 보도됐다. 축산업계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축산분뇨의 경우 대부분 자원화를 통해 농경지에 살포되고 있는 만큼 정화방류량이 많지 않은데다 그나마 정부의 방류기준은 물론 행정기관의 관리감독까지 대폭 강화, 수질 오염원의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연한 편견으로 축산분뇨를 녹조의 원인으로 몰아가는 것은 정부를 비롯한 범축산업계의 친환경적인 가축분뇨 처리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주장하고 있다. 축산업계는 특히 말 한마디, 한마디에 엄청난 파괴력이 실릴 수 밖에 없는 유력 대권후보라는 점에서 이번 홍준표 지사의 발언은 전 국민에게 축산분뇨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각인시키는 결정적인 배경이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일부 양축농가들은 “축산업이 동네북이냐. 환경오염 이야기만 나오면 가축분뇨부터 찾고 본다. 이로인한 축산농가들의 충격과 피해는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홍준표 지사의 발언속 대청댐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충북도 역시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대청댐 인근은 상수도관리지역인 만큼 철저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사육되는 가축마릿수도 많지 않다. 따라서 축산분뇨 때문에 대청댐 녹조가 발생한다는 논리는 맞지 않는다”며 “검사시절 홍지사가 충북도에 근무했던 10년전에나 생각할 수 있었던 이야기다. 어이가 없을 뿐”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축산관련단체협의회가 ‘축산분뇨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모는 마녀사냥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며 강력 대응을 예고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