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지난 7일 가축의 대사각인 효과(생후 어린시기 영양이나 호르몬 변화가 성체의 생리대사에 영구적으로 영향하는 현상)를 활용한 새로운 송아지 사양기술을 개발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송아지가 특정기간 받은 영양자극이 다 자란 뒤 성체의 구조, 대사, 생리적인 형질에 영구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을 접목해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축산과학원은 “어미 소의 포유 능력은 송아지 체중의 70%를 좌우하는데 한우의 경우 산유량이 요구량의 55%에 그쳐 송아지 시기 어미젖만으로는 타고난 육량·육질 능력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축산과학원은 2주령 송아지에게 부족한 모유를 보충해 주면서 에너지 함량이 높은 곡물사료(TDN 75 이상, 전분 강화)로 10주간 자극(급여)한 후 다시 일반 사양을 전환했다. 이후 28개월~29개월령께 도축한 결과 영양자극을 받은 한우는 일반한우에 비해 근내지방도는 30% 이상 늘고, 불필요한 지방인 등지방 두께는 1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기술은 기존의 영양·사양기술에 후성유전학을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사양관리법을 확립하고 한우의 성장단계별 대사생리 특성을 고려한 정말사양관리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축산과학원은 설명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이현정 농업연구관은 “한우 송아지 시기는 성장과 비육의 기본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라며 “이번 기술이 고가의 사료비와 장기간의 비육으로 인한 농가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