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길 기자 2016.11.04 10:38:19
항생제 내성을 관리할 전담부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이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손실도 워낙 크게 유발하고 있어서다.
미국에서는 항생제 내성균에 의해 연간 200만명이 감염되고, 2만3천명이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50년에는 전세계에서 연간 1천만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특히 항생제는 사람, 농축수산, 식품,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때문에 그 각 분야에서부터 철저하게 관리해야 내성균 출현을 막고,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분야에서도 항생제 내성을 전담할 조직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재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위임·위탁받아 농식품부에서 생산단계 축산물 안전·위생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그 조직과 인원은 고작 1과 내 1계의 2명에 불과하다.
농식품부에서는 항생제 판매·유통 관리 강화, 안전관리·감시체계 확대 등 다양한 항생제 내성관리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조직·인력, 검사장비 등이 부족해 항생제 내성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결국 정책 실효성을 높이려면, 전담부서가 설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되고있다.
그 대안으로는 우선 농림축산검역본부 내 과 단위 조직 신설이 거론된다. 검역본부 인력풀과 네트워크 등 기반을 활용할 경우, 시너지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역시 항생제 내성관리를 전담할 부서 설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관계 부처 등과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관계자는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전면 금지, 수의사 처방제 도입 등 항생제 사용 규제 정책이 실시되면서 항생제 사용량이 크게 줄었다”면서도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국민 관심도와 현재 관리 여건 등을 감안할 경우 항생제 내성을 관리할 전담부서 신설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