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길 기자 2017.04.21 11:38:03
가축분뇨를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할 ‘에너지화’에 보다 많은 정책적 배려와 지원이 요구된다는 현장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가축분뇨가 거름 뿐 아니라 에너지 원료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가축분뇨가 냄새를 유발하는 주요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축산현실에서 ‘에너지화’는 이를 해결할 대안도 된다고 밝히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분뇨를 에너지화할 경우 환경오염 방지, 화석에너지 대체, 온실가스 감축, 화학비료 절감, 농촌환경 개선 등 1석5조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에너지화 사업은 여전히 큰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식품부가 지원한 가축분뇨를 이용한 에너지화 시설은 현재 4개소에 불과하다.
업계는 이에 대해 특히 낮은 매전가격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에너지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한 축협은 “2011년 사업에 처음 뛰어들 당시만 해도 kWh당 150원이었지만 현재는 84~85원에 불과하다. 유럽의 600원과 비교하면 채 1/6에도 못미친다”며 발전차액지원 제도 등을 통해 매전가격을 현실화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냉혹한 관련 법·제도도 발목을 잡고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가스 시설을 설치·운영하려면 ‘가축분뇨 관리·이용한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비료관리법’, ‘농지법’, ‘환경정책기본법’, ‘전기사업법’ 등 많은 법률과 부딪혀야 하는데 그 벽이 너무 높다고 하소연한다.
또한 에너지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화액은 마땅히 액비(비료)로 뿌려져야 하지만, 비료공정규격 등 까다로운 기준에 그냥 폐기되기 일쑤라며, 이를 완화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가축분뇨는 오염물질이 아니라 소중한 자원으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에너지화’는 잠재력이 크고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만큼, 정책적으로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줬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