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자체 방역인력 350명 충원된다

진흥·규제 혼재 해소…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행자부, ‘방역조직 보강방안’ 지자체에 시달

김영길 기자  2017.07.14 10:06:36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지자체의 가축전염병 대응체계가 대폭 보강된다.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가축전염병 대응체계 보강방안’을 지방자치단체에 내려보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가축전염병에 대응할 전담조직 구축과 인력 증원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행자부가 지자체에 시달한 ‘가축전염병 대응체계 보강방안’에서는 방역조직 강화와 인력 증원을 주문하고 있다.
방역조직 강화의 경우 도 본청에는 동물방역전담과, 시·군에는 동물방역전담팀 구축을 내걸었다.
축산 진흥업무와 가축 방역업무를 동일 부서에서 담당하는데 따른 진흥·규제 혼재 문제를 해소하고, 방역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에서다.
아울러 방역 전담조직 설치에 따른 인력 증원을 요구하고 있다.
인력 증원은 구체적으로 도 본청 49명, 광역시 본청 6명, 동물위생시험소 46명, 시·군 249명 등 총 350명이다. 비상근무와 열악한 근무여건 속에 일하는 수의직 공무원의 사기진작을 위한 처우개선 방안도 마련됐다. 수의직 공무원 충원이 어려운 시·군의 경우 의료업무 수당을 최대 월 50만원 범위 내에서 지자체 조례로 인상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가축방역관을 전문직위로 지정하도록 유도해 전문직위 수당을 지급하고 가산점도 부여해 인사상 우대할 것을 통보했다.
특히 필기시험없이 서류·면접으로 채용이 가능한 ‘경력경쟁임용시험’을 통해 신속하게 인력을 확충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을 책정할 수 있는 ‘임기제공무원’도 적극 안내하라고 지시했다.

행자부는 수당인상 관련 법령을 조속히 개정하는 등 앞으로도 지자체의 가축전염병 대응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행자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되면서 지자체에서도 가축전염병 대응체계 보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조례개정안 마련 등 방역조직 정비와 인력 증원 절차에 착수했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이번 대책이 지자체의 가축 방역 대응과 위기관리 역량을 높이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고생하는 수의직 공무원의 사기진작과 유능한 인재 충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