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후년 쯤에는 생산부터 유통·판매 등 계란 전 과정에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계란 이력제가 도입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잔류농약 검출 등 문제 발생 시 역추적 등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뿐 아니라 AI 등 방역관리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AI 방역 개선 종합 대책’에 계란 이력제 도입 방안을 우선 담고, 연구 용역 등을 통해 타당성을 살필 계획이다.
다만 법령 개정 등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그 시행시기는 2019년 중반쯤이 예상된다.
케이지 사육, 평사사육 등 사육방식을 계란에 표시하는 농장 사육환경표시제도 내년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정부는 동물복지 축산 확대 등 산란계 농장의 축사 환경을 개선하고, 친환경 인증제도는 국민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도록 친환경 인증기관 책임강화, 인증기관 관리감독 강화 등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