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의 관리 이원화에 따른 이미 예고된 인재라며 식품안전관리 대책을 재점검 해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회장 김연화)는 지난 22일 성명서를 통해 살충제 계란 사태로 인해 소비자의 식품섭취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됐다며 사전관리부터 제대로 할 것을 촉구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일반 농가보다 오히려 친환경 인증 농가에서의 부적합 판정 계란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인증제도에 대한 신뢰도 추락, 계란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식품에 대한 불신도 커졌다고 우려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이번 사태에 대해 사후관리는커녕 사전관리부터도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는 정부의 소홀한 관리 체계가 여실히 드러났다며 피프로닐, 비펜트린 등 살충제의 잔류기준 자체도 세워지지 않은 현 관리 체제를 지적했다.
특히 정부의 식품의 생산, 유통, 판매 관리 시스템이 농식품부와 식약처로 이원화 돼 있음에 따라 부처간 엇박자가 나고 있는 만큼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이원화되어 있는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의 일원화를 통해 국민의 신뢰 회복이 급선무라고 주문했다.
전체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는 물론 비양심적인 불법 농가에 대한 확실한 제재를 해 신속한 대책 수립 및 실시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