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내년 가축질병 예방과 축산식품 안전 확보에 국가 예산이 대거 투입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8일 2018년 농식품부 소관 예산·기금안을 발표했다. 총 14조4천940억원 규모이며, 이는 올해 대비 53억원(0.04%) 늘어난 금액이다. 이 가운데 축산정책국 예산은 1조700억여원, 방역정책국 예산은 2천400여억원 등으로 축산관련 총 예산은 1조3천111억원이다. / 관련기사 3면 이 예산은 이달 1일 국회에 제출돼 앞으로 국회 심의·의결을 거쳐 오는 12월 최종확정될 예정이다. 내년 예산·기금안은 농업인 소득 안정과 농식품 산업 기반 조성, 그리고 안전 먹거리 공급체계 구축 등에 방점이 찍혔다. 특히 축산분야에서는 가축질병 예방과 축산식품 안전 확보에 많은 비중을 뒀다.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가금류 밀집사육 5개소에는 신규 예산 90억원이 투입된다. 가금산물 이력제 도입기반을 마련하는 데는 연구비 2억원(신규)이 책정됐다. 계란 GP 시설 신규지원에는 4개소, 신규 18억원이 배정됐다. 깨끗한 축산농장을 확대할 364억원(750개소 추가) 예산도 마련됐다. 상시방역 체계 구축도 가속도를 붙이게 된다. 가금농장 CCTV 등 인프라 구축에 186억원이 지원되며, 공동방제단은 현 450개반에서 540개반(95억원→131)으로 늘어나게 된다. 예방백신, 검사비용, 축산차량 GPS 등 방역장비 지원도 증가(1천78억원→1천138)했다. 질병 발생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방역관련 인력이 42명 증원되며, 신속한 살처분을 지원할 이동식 처리장비가 확대(2대→20, 1억원→12)된다. 제2의 살충제 계란 사태를 막을 안전 먹거리 체계 구축에도 많은 예산이 반영됐다. 이를 위해 잔류농약, 중금속, LMO 등 농산물 안전성 조사를 강화하게 된다. 또한 축산식품 안전관리와 도축검사에 각각 18억원, 155억원 예산이 투입된다. 학교급식지원센터에는 안전 농산물 구매자금 84억원을 지원하고, 29억원 예산을 통해 급식 식재료 품질관리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밖에 내년 예산·기금안에는 논타작물재배지원, 가축질병치료보험, 소규모도계장설치지원, 후계축산농 육성 등 농정 현안을 풀고, 현장체감도가 높은 신규사업 예산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