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물복지형 축산 점진적 전환 유도

농식품부, 하반기 핵심정책·내년 예산 브리핑
동물복지형 진입 기준 완화·시설 지원 등 검토
내년 예산 신규사업 대거 반영…경쟁력 견인

김영길 기자  2017.09.06 11:12:47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동물복지형 축산업으로 전환이 점진적으로 추진된다.
김경규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4일 서울 농협중앙회 신관에서 전문지 기자 대상으로 정책브리핑을 갖고 내년 농식품 예산과 올 하반기 핵심정책을 알렸다.
이날 김 실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문재인 대통령 주재 ‘농식품부·해수부 핵심정책 토의’ 내용을 집중 소개하면서 “계란·닭고기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동물복지형으로 축산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축산물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농식품부 업무보고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먹거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미봉책에 그치지 말고 근본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이번 살충제 계란 파동이 아니더라도 질병, 소비트렌드 등을 감안할 때 동물복지형 축산으로의 전환은 불가피하다”면서 “다만, 농식품부는 하루아침에 동물복지형 축산으로 전환하기 보다는 예를 들어 10년 가량 기간을 두고 단계적·점진적으로 전환하는 데 정책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동물복지형으로 전환될 경우 계란 공급이 줄고, 생산비는 늘어나게 된다. 이를 지원할 시설, 입지완화 등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특히 “다른 축종과 형평성을 고려하면서도 식품안전 등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해 축산업 구조 개선에 힘써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축산업 체질 개선 등 농식품 현안을 풀어가기에 내년 예산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연차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하지만 불용된 융자예산을 대거 빼고, 정책 효율성있는 항목으로 채우려고 최선을 다했다”면서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 편성된 소중한 예산인 만큼, 내년 재정사업이 충실히 집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내년 예산에는 쌀 생산조정제, 가금GP센터시설 현대화, 밀집 지역 축사 이전·단지화 등 축산분야 신규사업이 많이 포함돼 있다”며 앞으로도 축산업이 국민 사랑을 이어가고, 국제경쟁력을 쌓아갈 수 있도록 농식품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