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포럼서 전문가들 ‘국제협력체계 구축' 주문
밀집사육·잦은 이동·인식 부족에 아시아 급속 확산
조기신고·신속대응이 관건…‘정부 보상체계’도 필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해당나라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만큼, 국제협력을 통한 공동대응이 절실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지난달 25~28일 ‘아시아양돈수의사대회(APVS 2019)'<사진> 일정 중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포럼’이 대회 마지막날인 28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케이틀린 홀리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박사는 “중국 등 아시아에서 ASF 발생이 확산되고 있다. 전파경로는 축산물 이동을 따라가기도 하지만, 수천 Km 껑충 건너뛰기도 한다. 결국 사람 이동과 관련이 많다. 유럽에서 아시아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따라 바이러스 유입을 막을 국경검역 등에 매진해야 한다. 특히 그 과정에서는 국가간 협력이 뒷받침될 필요성이 있다. OIE에서는 중국 베이징에 아시아 ASF 전문가 그룹을 구성, 정기·수시 회의를 통해 취약지역 등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클라우스 데프너 독일 FLI 박사는 “중국의 경우 세계 돼지고기 소비 ‘블랙홀’이 되고 있다. 정부의 돼지고기 소비를 자제해달라는 당부에도 불구, 여전히 소비가 많다. 세계 돼지고기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된다”고 진단했다.
또한 “ASF 바이러스는 생존력이 강하다. 잔반·육가공 등에서도 오래 살아남는다. 동유럽에서는 이를 통해 나라 사이 유입이 확인되고 있다. ASF는 전세계가 풀어가야 할 숙제다. 함께 건강한 양돈산업을 설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렌다 레빌라 노벨라 스페인 CBMSO 박사는 “’살디니아’라는 작은 나라에서는 공항만에 남아있던 잔반을 돼지에 급여한 것이 ASF 발생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조그만 방심이 큰 화를 불러온다. 나라 사이 정보를 공유하고, 그에 맞는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계가 ASF 백신 개발에 한창이다. 30년 이상 됐지만 아직 상용 제품이 개발돼 있지는 않다. 다만, 바이러스 특성과 그 기전 등을 상당부분 파악해 놓은 만큼, 조만간 좋은 백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들 ASF 전문가들은 아시아 지역에서 ASF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아시아는 우선 양돈 개체수가 많을 뿐 아니라 밀집사육을 하고 있다.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이다. 또한 축산물 이동 등이 잦고 복잡하다. 잔반·가공품 등이 원인을 제공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확산을 막을 대책을 두고는 “조기검진, 신속대응이 필수다. 농가들이 임상 증상 등을 확인할 경우 즉각 신고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적극 교육해야 한다. 적절한 보상체계 마련도 요구된다. 기존에 습관적으로 해오던 행동도 ASF 유입·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홍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