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형 기자 2020.01.31 10:54:14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관련해 조속히 재입식 일정을 마련해달라는 농가들의 요구에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당혹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예방적 살처분과 언제 끝날지 모르는 기약없는 이동제한 등으로 피해를 입은 북한 접경지역(인천 강화, 경기도 김포·파주·연천, 강원도 철원 등 살처분 및 이동제한 5개지역) 양돈농가들은 지난달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궐기대회를 갖고 지난달 30일까지 정부로부터 명확한 재입식 일정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29일 현재 제시되지 않음) 농가 독자적인 판단으로 재입식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는 농가들이 통보한 날짜를 하루 앞 둔 29일 현재까지도 재입식 기준 및 일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재입식을 서두를 경우 농장돼지에서의 재발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에도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 지역 광역 울타리 안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6개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로써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검출은 총 124회가 됐고 이 중 절반 이상인 67회는 올해 발생했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검출이 계속 이뤄지고 있음에도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않고 있는데는 위험지역에 돼지가 사육되지 않고 있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라며 “재입식을 하지 못하고 있는 농가의 어려움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입식 기준 마련과 관련해서는 “국내 ASF 발생상황 등을 고려해 방역시설 등의 강화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큰 틀에서의 방향성은 나와있지만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바이러스 검출도 문제도 있고 제도 마련을 위한 절차도 거쳐야 하는 만큼 재입식 기준을 마련해 발표하는 시기가 언제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농식품부의 올해 예산 내역을 보면 ASF 방역의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방역정책국의 예산은 3천237억원. 지난해 대비 20.2%가 늘었다.
ASF 방역관련 예산이 대폭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농가의 생계 및 소득안정자금에 50억원을 편성한 것도 재입식 기준 마련에 신중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정부의 지침 없이 입식을 강행하는 무단행위는 신중해달라고 당부했다.
농식품부 측은 양돈농가들의 무단행위를 막기 위해 대한한돈협회 등과 대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