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풀사료, 봄철 관리 잘해야 수확량 증가

농진청, 웃거름주기·눌러주기·배수로 정비 등 철저 당부

김수형 기자  2020.02.07 10:48:23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 4일 겨울철 풀사료의 서릿발 피해와 습해(습기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철저한 봄철 관리를 당부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겨울철 풀사료 생산성은 웃거름주기, 눌러주기, 배수로 정비 등 재배관리로 높일 수 있으며, 웃거름주기와 눌러주기는 봄철 하루 평균 기온이 5~6도(℃)이상 오를 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웃거름(요소비료) 양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경우 1헥타르당 220kg~240kg(11포∼12포) 정도, 청보리와 호밀은 1헥타르당 120kg(6포) 정도가 알맞다.
언 땅이 녹으면서 사료작물 밑동이 들뜨면 서릿발 피해가 우려되지만, 눌러주기(진압)를 하면 뿌리가 토양에 밀착되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뿌리가 얕게 분포하고 있어 잘 눌러줘야 하며, 눌러주기를 하면 생산량을 15%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또한 배수로를 정비해 물고임을 막고 겨울철 풀사료의 습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올해 1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평년보다 약 2.6배 높은 83.4mm을 기록했는데, 토양에 수분이 너무 많으면 풀사료의 잎이 노랗게 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호밀과 청보리는 습해에 약하기 때문에 배수로를 설치하여 반드시 적습(적정한 습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천동원 초지사료과장은 “이번 겨울 이상 기후에도 풀사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배수로 정비와 이른 봄 눌러주기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