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귀농 57.8%, 귀촌 67.0%)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7일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와 통계법 제18조 및 제20조에 따른 것으로 최근 5년간 귀농·귀촌한 농가 4천167가구(귀농 2천81, 귀촌 2천86)를 대상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귀농·귀촌 이유로는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28.6%),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26.4%), 가족 생활(10.4%)순으로 응답했으며, 귀촌의 경우 정서적 여유(21.2%), 자연환경(19.3%), 저렴한 집값(13.6%) 순으로 응답했다.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적으로 25.1개월이 소요됐다.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0.7%), 주거·농지 탐색(32.5%), 귀농교육(12.8%) 등을 수행했으며, 귀농·귀촌 교육의 경우 귀농가구의 59.9%, 귀촌가구의 21.1%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했다.
귀농·귀촌 농가들은 교육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컨텐츠 개발(28.6%), 현장실습 연계 강화(20.3%) 등을 꼽았다.
소득의 변화를 살펴보면 4~5년 정도 이후 귀농·귀촌 전 소득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연 2천828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3천895만원)까지 귀농전 평균 가구소득(4천400만원)의 88.5% 수준으로 회복됐다. 귀농가구의 48.6%는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 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귀촌의 경우 평균 가구소득은 연 4천38만원으로 4년차(4천58만원)에 귀촌 전 소득을 회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인들은 전반적으로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4.7%, 귀촌 56.1%)고 답했다.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1.4%, 귀촌 1.5%였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새, 생활방식 이해충돌, 마을공동시설 이용문제 등을 꼽았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는 문화ㆍ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취약계층 일자리와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귀농ㆍ귀촌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는 귀농의 경우 영농기술ㆍ경험부족(28.5%), 자금부족(27.8%)을, 귀촌의 경우 자금부족(43.3%), 영농기술ㆍ경험부족(30.0%)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귀농ㆍ귀촌 교육 지원 강화 및 맞춤형 정보 제공 ▲귀농ㆍ귀촌 후 소득기반 등 정착지원 강화 추진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추진으로 귀농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 지원 등에 나서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ㆍ귀촌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 강화방안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귀농귀촌 실태를 반영한 면밀한 정책보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