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코로나 따른 우유 불황…자급기반 악재 될라

급식 시장 등 수요 막힌 원유…유업계 저유조마다 가득
사태 지속 시 현행 자율감산체제, 강제감산 전환 불가피
내수시장 축소, 외산에 주도권 내줄 수도…대책 세워야

민병진 기자  2020.04.22 11:12:27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유업체에 이어 낙농가까지 그 피해가 번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초·중·고교의 개학이 3차례 연기된데 이어, 온라인 개학이 이뤄지면서 3월부터 시작됐어야 할 학교우유급식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게다가 소비자들의 외부활동 자제로 카페나 레스토랑 등 외식업계가 불황을 겪으면서 업소용 유제품마저 소비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처를 잃은 우유 물량이 넘쳐나자 유업체에서는 잉여유 처리를 위해 일반우유보다 유통기한이 긴 멸균유, 탈지분유, 치즈 생산에 집중하면서, 할인 판매, 1+1증정과 같은 강도 높은 판촉 행사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지난 3월 일일 평균 원유사용량은 5천126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2.3%가 감소한 반면, 일일평균 잉여원유량은 814톤으로 26.8%가 늘어났다. 이미 대다수 유업체의 저유조는 수용능력이 한계치에 다다른 상태다.
상황이 이러하자 일부 유업체들은 소속 낙농가에 협조 공문을 통해 자율적으로 원유감산을 해줄 것을 요청해왔다.
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선 유업체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낙농가들의 동참을 유도하겠다는 의도지만 낙농가들 사이에서는 자칫 낙농생산기반의 축소를 불러올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만약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유업계가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면 최악의 경우 자율감산이 아닌 강제감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산량 감축이 이뤄진다면 향후 원유수급이 안정화 됐을 때 줄어든 물량만큼을 수입산이 차지할 수 있어 내수시장이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낙농업계도 우유소비촉진에 앞장서 코로나19사태로 인한 피해가 낙농가들에게 미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업계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원유 자급률 50%가 붕괴된 상황에서 생산량 까지 감축한다면 수입산에 국내시장을 뺏길 수도 있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낙농업계에서는 각 지역별로 우유소비 촉진을 위한 활동을 확대해 가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낙농·유업계의 노력에 함께하여 적극적으로 지원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