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22일 정세균 본부장(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각 중앙 부처 및 17개 시‧도와 함께 ▲코로나19 대응 국제 방역협력 총괄T/F 운영계획 ▲농업분야 코로나19 대응 ▲수산물 소비·수출 동향 및 향후 계획 ▲생활 속 거리 두기 집단방역 기본수칙 공개 등을 논의했다. 이날 정세균 본부장은 “소중한 우리 농수산물이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각 기관이 노력해 주고 특히 대도시 지방자치단체가 농수산물 유통‧소비 활성화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상황은 안정세이지만 5월5일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된다”며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고삐를 조여 조금 더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폭증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K-방역’ 경험 전수 요청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자 범정부 차원의 ‘코로나19 대응 국제 방역협력 총괄 T/F’를 신설키로 했다. T/F는 외교부 2차관 주재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유관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며 격주로 개최된다. 특히 농업분야 코로나19 대응 대책도 발표됐다. 정부는 판로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촉진을 위해 유관기관 및 지자체와 함께 공동구매 캠페인을 진행하고 농협‧생협 및 유통업체 등과 협력해 할인 판촉을 지원키로 했다. 지난 21일 기준 피해 농가 지원을 위해 공동구매, 할인 판촉 등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총 1천531톤에 대해 대체판로를 지원했으며, 외출이 자유롭지 않은 자가격리자에게 친환경농산물 꾸러미를 공급하기 위해 친환경농산물 87.7톤을 구매하기도 했다. 계절근로자 입국 지연 등으로 농업인력 부족이 우려됨에 따라 농번기를 앞두고 필요한 인력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인력중개 확대와 계절근로자 대체인력 확보도 중점 추진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경영 위기에 놓인 피해 농업인의 경영안정을 위해 농업경영회생자금(300억원), 재해대책경영자금(600억원) 등 긴급 자금을 지원하고 특별재난지역(대구, 경산, 청도, 봉화) 농업인에게는 농축산경영자금 이자감면(2.5%→0%) 및 상환연기(1~2년) 등 금융부담을 완화해 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