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의 지역특성을 반영한 아동복지 정책수립 필요성이 제기됐다.
농촌지역에 아동복지를 위한 각종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등이 실시된다 하더라도 취약한 서비스 접근성으로 인해 농촌의 저소득아동가구가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은 지난 8일 ‘농촌지역 저소득가구의 아동복지 실태와 정책 과제’ 연구를 통해 농촌지역 저소득 아동가구의 아동복지 실태를 분석하고 저소득의 지속(가난의 대물림)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농경연 엄진영 연구위원은 “농촌지역 저소득가정의 아동은 도시지역에 비해 열악한 사회경제적 환경 요인 등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있을 가능성이 크며 가난의 대물림, 교육격차 등의 심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저소득 아동 가구의 가난 대물림 현상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려면 저소득가구에서 벗어나게 하는 요인, 그리고 저소득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을 식별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경연에 따르면 농촌지역 저소득아동가구 비중(2010년~2016년)은 농촌지역 전체 아동가구 대비 18.1%~24.7% 수준으로 조사됐다.
한편, 저소득가구가 다음 해에도 저소득 상태로 머무는 비율은 최소 53%에서 최대 77%에 달해 저소득 상태가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소득가구 중 한부모, 조손, 다문화 아동가구 비율이 2010년 21.1%에서 2016년 23.5%로 상승했다.
엄진영 연구위원은 “농촌지역 저소득가구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취약한 심리‧정서적 특성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한 치료‧개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