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업생산액의 40%를 차지하는 축산업의 위상에 걸맞지 않게 초고령화 사회를 맞이함과 동시에 신규진입도 어려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축산업은 상당한 규모의 양적, 질적 성장을 가져왔다.
축산업 생산액은 2008년 13조6천만원에서 2019년 19조8천만원으로 약 46%가 증가했으며, 농업생산액 중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7년 32%에서 2019년 39%로 크게 늘었다.
농업생산액 최대 품목 10개 중 5개 품목이 축산일 정도로 농업 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축산업도 직격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2018년 기준 축산농가의 평균 연령은 68.2세로 전해지고 있다. 40대 미만 청년 농가수는 2010년 3만3천143호에서 2018년 7천624호로 줄었으며, 2025년에는 3천725호까지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축산업이 냄새와 미세먼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며 각종 규제가 강화되었고 많은 농가들이 축산업을 떠남과 동시에 신규진입 장벽은 높아지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실제로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을 경험한 후 다시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U턴형’이 가장 많았으며,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귀농한 경우는 2018년 기준 17.9%에 불과했다.
귀농한 농가의 주재배작목 선택 현황을 보면 축산업으로의 신규진입이 얼마나 어려운지 확인할 수 있다.
귀농 가구들은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등을 주로 선택했으며, 축산업을 선택한 경우는 2.5%에 불과했다.
축산업은 살아있는 가축을 다뤄야 하기에 초기에 필요로 하는 지식의 양이 많다는 점도 있지만 동시에 신규 진입을 위해선 각종 규제와 지역 민원과 싸워야 하는 부담에 주로 선택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결국 축산업이 젊은 세대로의 세대교체가 이뤄지려면 가업승계가 필요한 상황인데 가업승계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수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조사한 축산부문 승계자 확보율을 살펴보면 축산농가의 58.8%가 영농승계자가 없다고 밝혔다. 축종별로 따져보면 영농승계자가 없다고 밝힌 한우농가는 63.4%, 젖소 54.6%, 양돈 52.8%, 산란계 56.8%, 육계 62.7%였다.
이처럼 생산기반이 위협받고 있는 축산업이기에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초고령화 사회를 맞아 신규 축산업의 진출이 차단되는 것은 청년층의 기회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급속한 축산업의 여건 악화로 지역경제의 동력을 잃고 소비자의 축산물 요구 다변화에 대응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축산업의 신규진입 확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