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2025년까지 1만호 조성 목표…사후관리 강화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올해 깨끗한 축산농장 1천22호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깨끗한 축산농장’ 만들기는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축산냄새 및 환경오염이 없는 깨끗한 축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25년까지 1만호 조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 지정한 1천22호를 포함해 2017년부터 현재까지 총 3천629호가 지정됐다.
‘깨끗한 축산농장’은 지정을 희망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청소상태, 냄새 여부 및 분뇨 관리상태 , 냄새저감시설 가동현황, 깔짚관리 상태 등 농가의 축산 환경관리 전반(12개 항목)에 대해 서면·현장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인 농가를 선정한다. 지정농가는 향후 5년간 깨끗한 농장 지정의 효력이 유지된다.
특히 올해부터 지정된 깨끗한 축산농장에 대해 환경관리 등 사후관리를 상·하반기 연 2회 실시하고, 사후 관리가 미흡한 농가는 지정취소하거나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제도개선을 통해 ‘깨끗한 축산농장’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축산환경관리원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을 희망하는 농가에 대해 축사 내부, 분뇨처리시설의 관리 및 청결상태 등에 대해 진단하고 환경개선 컨설팅을 통해 ‘깨끗한 축산농장’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에서 축산 환경개선 우수사례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축산 냄새 및 가축분뇨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 깨끗한 축산농장을 2025년까지 1만호 이상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