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다음달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업특별위원회의 2기 본위원 구성을 앞두고 축산업계의 인사 포함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특위는 지난 2018년 12월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이듬해 4월 정식 발족됐다.
발족과 동시에 임명된 당연직 위원 5명과 위촉직 위원 22명 등 총 28명이 2년의 임기를 마치고 2기 구성을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기 구성 당시 축산업계로서는 아쉬움이 컸던 것도 사실이다.
축산업이 농업생산액의 40%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농촌경제를 이끌고 있음에도 농특위 본위원에 정구용 상지대 명예교수와 김홍길 당시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만이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농정의 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축산업계의 의견이 반영되기엔 2명의 본위원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겠느냐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농특위는 현재 분위기가 초반과 많이 달라졌다. 우선 농특위원장의 교체가 있었고 농정의 틀을 바꾸겠다는 농특위의 목표도 어느정도 방향성을 잡아가고 있다.
특히 지역별 순회 토론회를 거쳐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목표로 농촌 환경을 바꾸고 적정 수준의 가축분뇨 발생을 목표로 양분총량제 등의 논의를 이어가는 모습은 축산업계 인사의 농특위 참여가 더욱 확대되어야만 하는 근거로 꼽히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