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냄새와의 전쟁’ 가시적 성과

냄새관리 정책, 축산업계 노력과 맞물려 지표 개선

김수형 기자  2021.05.18 18:50:3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부숙도 검사 유예기간 시료분석 결과 98% 기준 준수
냄새 다발지역 집중관리…암모니아 수치 44% 감소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했던 축산 냄새 관련 정책들이 가시적인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되어 올해 유예기간이 끝난 퇴비부숙도 검사 의무화와 함께 냄새 다발 지역에 대한 집중관리가 농가들의 노력과 맞물리며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냄새 원인별 민원건수를 비교해 본 결과, 2020년 1/4분기 기준 퇴·액비 무단배출에 따른 민원이 130건, 살포에 따른 민원이 158건이었지만 2021년 1/4분기에는 무단배출이 68건, 살포가 102건으로 각각 47.7%와 35.4%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농식품부는 퇴비부숙도 검사 의무화 유예기간 동안 지자체, 농축협 등 관계기관과 함께 농가의 부숙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퇴비처리에 필요한 장비 및 퇴비사 등을 보완함에 따라 축산농가 및 가축분뇨 위탁처리시설 4천371건의 시료 분석 결과 97.9%인 4천142건이 부숙도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중점과제로 추진해 온 냄새 우려 지역의 집중관리 및 농가의 노력도 냄새저감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고속도로 및 혁신도시 인근 냄새 우려 지역 10개소를 선정, 원인 진단 및 집중관리를 통해 암모니아 수치를 44% 감소시키는 등 성과를 냈다.
경기도 안성시의 경우 중부고속도로 및 대학교 인근 양돈밀집단지에 대한 민원이 지속되어 왔지만 지난해 전문가의 현장 진단 결과 액비 저장조 등 처리시설의 개방, 돈사 내 분뇨 적체, 냄새저감시설 운영 미흡 등을 원인으로 분석,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고속도로 인근 농가들의 돈사 내부의 암모니아 측정 수치가 약 60%정도 감소하고 민원 건수도 대폭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혁신도시 개발 및 KTX역 신설로 인해 유동 인구가 많이 증가한 오송역 인근은 축산환경관리원 등 전문가 진단 결과 퇴비 살포 시기에 관행적인 미부숙 퇴비 야적이 주요 냄새 원인으로 파악됐다. 오송역 주변도 올해 초부터 미부숙 퇴비 야적 등 관리 상황을 주 1회 이상 집중 점검한 끝에 농가 평균 암모니아 수치가 62%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김제시 역시 용지면의 축산밀집단지로 인해 인근 혁신도시에서의 민원이 지속되었지만 전문가의 현장 진단 결과 돈사 내부 청결 관리, 미생물제 활용, 퇴비관리 등의 노력을 통해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무취일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장주들이 스스로 냄새 개선을 위해 돈사 내부 청결관리, 미생물제 활용, 퇴비관리 등의 작은 노력만으로도 냄새가 상당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향후 농식품부는 농가의 퇴비 부숙도 검사 의무화 이행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퇴비유통전문조직의 신속한 현장 안착을 추진하고 마을 단위의 공동퇴비사도 매년 12개소 내외로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박범수 축산정책국장은 “축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냄새 문제가 농가들의 퇴비부숙도 의무화 준수 등 노력 덕분에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했다”며 “퇴비 부숙도 사례와 마찬가지로 축산농가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가능한 방법부터 착실하게 실천해 나간다면 머지않아 냄새 문제도 완전히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