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 공동현안 대응기구 만든다

축단협 대표자회의서 설치·운영방안 의결

민병진 기자  2021.06.23 09:36:33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축산업 발전과 위기 대응을 위한 기구가 만들어진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이승호, 이하 축단협)는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소재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2021 제2차 대표자회의’를 개최하고 축산업 공동현안 대응기구 설치 및 운영(안)을 원안의결했다.
지난 4월 개최된 제1차 대표자회의에서 대체단백질식품 대응 TF와 대선공약반영을 위한 TF를 구성키로 했으나 대응 업무진행 및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고려해 통합운영키로 결정한 것이다.
축단협은 이미 2012년 대선, 가축분뇨법 개정, 농협축산경제 독립성 보장 등 공동현안에 대응해 공동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성과를 거둔바 있다.
이번 축산업 공동현안 대응기구의 활동목표는 ▲축산업 발전을 위한 대선공약 발굴 및 정치권 전달을 통해 각 대선후보자들의 공약으로 채택 ▲대체단백질식품의 증가세에 따른 범축산업계 대응방안 강구 ▲축산업 환경규제 해결방안 마련을 통해 일선 축산농가 보호책 강구다.
또한 축협조합장협의회와 축산관련학회협의회가 공동으로 연대하며, 대표자 기구인 '축산업 생존을 위한 공동 비상대책위원회'(가칭)와 실무자기구인 '축산업 생존대책 마련을 위한 실무작업반'(가칭)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별개로 축산업 상생발전기금 T/F도 운영된다.
T/F 활동을 통해 축산회관 이전비용 반환금 사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며, 추후 축산생산자단체장회의에서 최종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비대위를 구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축산업계가 하나의 목소리로 명확하게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승호 회장은 "축종마다 입장차이가 있고, 저마다의 고충을 겪고 있다. 앞으로 서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최대한 마련해 소외되는 축종이나 단체 없이 화합과 발전을 도모해 비대위가 제역할을 할 수 있게끔 노력할 것"이라며 "또한 양분총량제, 탄소중립 등 정부의 환경규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는 가운데, 대체단백질식품 분야에도 정부가 개입에 나서고 있다. 비대위가 주무부처인 농식품부의 협조를 끌어내고, 규제일변도의 정책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