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가축질병 청정화 계획, 전면 개편 필요”

고병원성 AI‧ASF 등 발생으로 청정화 사실상 물거품

김수형 기자  2021.07.14 09:34:18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결핵‧브루셀라 등 피해 확산…“현실 반영 돼야” 목소리


정부가 수립한 가축질병별 청정화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13년 가축질병의 국내 발생상황과 경제적 중요도를 고려, 질병별 청정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 시행키로 한 바 있다.

2015년 브루셀라를 시작으로 돼지열병 2017년, 소결핵 2020년, 사슴결핵 2023년, PRRS(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2025년, 뉴캣슬병은 2030년에 청정화를 이루겠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계획대로라면 청정화가 이뤄졌어야 할 브루셀라와 돼지열병, 소 결핵 등의 청정화를 이루지 못했다.

청정화 계획을 수립한 이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전염성이 강한 악성질병이 해마다 발생했기 때문에 청정화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따르면 농장에서의 고병원성 AI는 지난 1년간 120건이 발생했으며, ASF도 3곳에서 발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소 결핵은 482건, 브루셀라는 294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에서 유입된 AI, ASF 등 가축질병의 전파력이 워낙 강력하다보니 방역 인력이 이 곳으로 총동원 되었고 결핵과 브루셀라의 청정화에 실패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가축질병 청정화 로드맵을 설정할 당시 정부가 축산물 수출에 목표를 두고 청정화 계획을 세웠지만 현재는 분위기가 달라진 점도 하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축산물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동물위생규약에 따른 청정국 지위회복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과거 3년간 백신접종 가축이 없어야 하며, 최종 살처분 이후 3개월간 추가발생이 없어야 함이 전제조건이다.

가축질병 청정화 로드맵이 수립될 당시에는 현재처럼 상황이 나쁘지 않았기에 청정화를 통한 수출 확대를 타진했지만 현재는 청정화 기반을 우선 다져야 한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 “AI‧ASF 방역에 집중하는 사이 결핵‧브루셀라 등에 의한 피해도 커지고 있는 만큼 가축질병 청정화 계획을 현실에 맞도록 개편해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