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우분을 활용해 친환경에너지 시설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농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이성희), 현대제철(주)(대표이사 안동일)은 지난 16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우분 고체연료의 생산 및 이용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사진>했다.
3개 기관은 가축분뇨를 고체 연료화하고 이를 제철소에서 친환경 연료로 확대 이용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가축분뇨는 지난해 기준 연간 약5천194만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마릿수가 증가하면서 발생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 가축분뇨는 90% 이상이 퇴비나 액비 등 비료로 만들어져 토양에 살포되고 있지만 최근 살포할 수 있는 농경지가 감소하고 퇴비 부숙도 기준 등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축분뇨의 처리에 대한 어려움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라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우분 고체연료 생산기반과 유통체계를 구축하고 대규모 수요처인 제철소를 통해 안정적인 사용기반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고체연료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하게 되며 농협은 지역 농축협을 중심으로 한 고체연료 생산‧공급기반 구축을, 현대제철은 우분 고체연료의 제철소 이용 및 확대를 추진하며, 농촌진흥청은 우분 고체연료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게 된다.
우분 발생량의 10%만 고체연료로 활용해도 약 30만CO2톤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우분 고체연료의 발열 에너지를 유연탄과 비교했을 때 1톤의 우분 고체연료는 유연탄 0.5톤 상당의 에너지로 수입 유연탄과의 가격 경쟁력에서도 1톤당 약 6만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는 분석이다.
농식품부 김현수 장관은 “철의 발견으로 농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듯이 이번 철강과의 상생협력이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퇴비 이외에는 활용방안이 마땅치 않았던 고체분이 고체연료라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면서 농업 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