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설 명절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고려, 예년보다 4주 이상 빠르게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을 구성했다.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은 설 성수품의 수급상황과 대책 추진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범정부적 물가안정 대응체계와 연계해 월 3~4회 범위에서 점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직무대리 주재로 지난 14일 농업관측센터 오송 사무실에서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kick-off 회의<사진>를 개최했다.
이번에 개최된 식품실장 주재의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회의는 국제유가 및 원재료비 상승, 농축산물 소비 증가 등 영향으로 국내 물가 상승 폭이 확대 중인 가운데 선물‧제수용품 구매 등으로 농축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설 명절이 한 달 보름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10대 성수품과 쌀을 중심으로 설 명절 수요 증가 등 가격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농축산물 수급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개최됐다.
농식품부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직무대리는 “올해 쌀 생산량 증가, 채소류 생육 회복, 충분한 축산물 공급량 등 고려 시 수급 여건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본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며 소고기‧돼지고기 수요 지속과 겨울철 한파, 최근 발생한 고병원성 AI 등에 따른 불안 심리 등 위험 요인도 잠재된 만큼 선제적인 수급 관리 및 대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