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 분야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 발표

저메탄사료 보급·스마트 축사 저변 확대

김수형 기자  2021.12.28 10:13:59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적정 사육밀도 유지·소 사육기간 단축도


농림축산식품부가 국가적 차원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마련해 발표했다.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농식품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2천470만톤 대비 38% 감축하기로 했으며, 지난 27일 발표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에는 구체적 이행방안이 담겨있다.

이번에 발표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저탄소 구조전환과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전환 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정밀농업, 환경친화적 농업의 확산 등을 통해 저탄소 농업구조로 전환하면서 벼 재배 및 가축사육 등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하는 한편 유통‧소비 분야에서도 최대한으로 감축한다는 계산이다.

축산 부분 감축안을 살펴보면 우선 저메탄 사료 보급을 확대하고 적정사육밀도 유지 및 사육기간 단축을 통해 가축 사육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447만톤에서 2050년 198만톤(2018년 대비 56% 감축)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산이다.

농식품부는 국내외 메탄 저감효과 연구결과를 활용, 국산 메탄 저감제를 조속히 개발하고 오는 2025년까지 사료기준 마련 및 감축효과 검증 등을 추진한다.

또한 적정 사육밀도 유지 및 사육기간 단축을 통해 가축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여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ICT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사양 관리 및 사료의 적정 사용을 통해 축산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소 사육기간 단축 연구개발을 통해 단기 사육방식을 확립하고 스마트 축사 보급률을 전업농의 50% 수준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가축분뇨 처리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농식품부는 가축분뇨의 정화처리 비중을 높이고 에너지화 이용 확대 등으로 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494만톤에서 2050년 437만톤으로 11%를 감축키로 했다.

이에 2022년까지 대규모 양돈농장의 정화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시설 설치비를 해당 농가에 우선 지원키로 했으며, 2030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을 210만 톤으로 확대해 정화처리 비율을 높이는 한편, 지자체·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공형 에너지화 시설도 2030년까지 10개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김종훈 차관은 “농식품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충실히 이행해 우리 농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