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지난 1월 20일 시작된 공공운수노조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지부(지부장 김필성) 파업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방역본부 노조는 지난 1월 2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본사 앞에서 1차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한데 이어 24일에는 민주노총 12층 중회의실로 자리를 옮겨 가축위생방역 노동자의 현장 실태를 고발하는 증언대회를 열었으며, 26일에는 방역본부와 기획재정부 앞에서 2차 총력 결의대회를 개최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방역본부 노조는 실태 고발 증언대회를 통해 ▲업무상 중대 사고 사례 ▲1인 근무로 노동자 안전이 위협받는 사례 ▲법정 기준에도 못미치는 인력으로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가 위태로운 사례 ▲예찰업무(콜센터) 노동자 감정 노동 사례 ▲똥밭에 굴러도 제대로 된 사무실 및 샤워시설이 없어 고통받는 사례 ▲자화자찬한 K-방역 성공 뒤에 지원업무 폭증으로 힘든 사례 등을 소개했다.
방역본부 노조에 따르면 정부 측에 ▲전 직원 기본급 인상 ▲기본급 정기상여금 포함 ▲5급 26~30호봉 구간 신설 ▲명절휴가비 120% 지급 ▲예찰직 근속 수당 도입 ▲방역사‧검사원 특수업무수당 신설 ▲직군별 차별 철폐 ▲특수건강검진 신설 및 인수공통감염병 정기검사 실시 ▲리프레쉬 유급휴가 5일 도입 ▲실근무시간 반영한 시간 외 수당 지급 등을 요구했으나 대부분의 내용이 예산 부족과 다른 직원과의 형평성 등의 이유를 들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방역본부 노조는 “현재 방역본부는 9개 도본부‧45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나 전체정원 1천274명 중 55명의 일반정규직을 제외하고 1천219명의 무기계약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95.7%가 무기계약직인 기형적 조직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며 “농식품부, 지자체, 검역본부, 방역본부 등 유사 중복업무 등을 통합하는 가축위생방역시스템의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축위생방역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가축방역에도 구멍이 뚫리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방역본부 노조는 “농식품부는 가축위생방역 노동자들의 파업 돌입 이후 약 1천800여 명의 대체 인력을 투입해 가축위생방역에 차질이 없다고 밝혔지만 실상은 공백이 발생하고 있으며, 파업 이후 경기도 화성 산란계 농장과 충북 진천 종오리 농장 등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방역본부 사측은 대부분의 직원이 전면 파업에 돌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섭 요청조차 없이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며 “똥밭에 구르다 똥냄새가 배어도 변변한 샤워실이 없어 화장실에서 씻어야 하는 방역사, 제대로 된 사무실이 없어 파티션 하나 쳐놓고 옷을 갈아입는 검사원 노동자, 최저임금에 주말없는 노동을 하고 있는 예찰원 노동자들의 절규를 묵살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