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협회가 지난 12일 개최한 원로양돈인 및 자문위원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돈육협회의 취지와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신중한 접근을 거듭 당부했다. 농가의 권익보호라는 양돈협회의 정체성과 정통성이 훼손된 채 정부나 유통업계 주도하의 조직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치 못한다는 것이다. 일선 양돈인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나 여론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양돈대표조직 육성이라는 중요성에 불구하고 정부가 너무 서두르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 참석자는 “내달 정도면 조직개편안이 확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며 “덴마크 역시 수많은 조합을 단일화 하는데 많은 역경과 시간이 소요됐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따라서 충분한 여론수렴 과정을 거치되 양돈협회 주도하에 돈육협회가 출범 운영됨으로써 생산자단체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 등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안전장치와 정부 지원방안이 사전에 전제돼야 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김동환 회장은 이에대해 “생산만으로는 소비자 중심의 산업으로 개편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없는게 현실”이라며 돈육협회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다만 정부생각만으로 되는게 아니라 협회와의 협의 및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그 계획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대기업의 양돈산업 진출 허용을 추진한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도 부정적 시각이 주류를 이뤘다. 오히려 전업농가 육성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은 가운데 대기업의 양돈산업 진출을 양돈업 면허제 도입과 연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이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