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료값 추가 인상분 정부서 흡수해야

정종극 부회장 ‘농업회생…의원모임’ 토론서 지적

이일호 기자  2008.07.16 11:30:08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사회기반사업 지원 맥락…양돈농 도산 확산 막야야

향후 사료가격 추가 인상분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흡수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0일 열린 ‘농어업 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공동대표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김영진 통합민주당 의원)’ 창립총회 및 기념토론회<사진>에서 대한양돈협회 정종극 부회장은 사료가격 추가 인상 전망을 내놓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 양돈농가 대표로 나선 정종극 부회장은 올 1월부터 두달간격으로 사료가격이 인상, 약 25%의 양돈농가들이 도산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할 때 오는 9월 사료가격이 추가로 오를 것으로 우려되는 데다 연말에는 지금 사용되는 것 보다 30% 정도 가격이 높은 톤당 420달러의 옥수수가 들어올 것으로 전망, 이를 사료가격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50%의 양돈농가들이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부회장은 따라서 경종농가의 비료구입비와 화물차량 및 어선의 유류대 보조 등 사회기반사업의 붕괴 방지를 위한 정부 지원 방침이 양돈산업에 그대로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돈가가 본격적으로 하락하는 9월 이후의 사료가격 추가인상분을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농협과 사료협회로 국한돼 있는 ‘사료곡물구매권’을 폐지, 종합상사를 포함한 유관기업도 사료곡물 구매에 참여토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가 이뤄질수 있는 방안과 함께 해외사료곡물개발을 위한 보다 전폭적인 지원대책도 강구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이에 대해 ‘농어업 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의 강기갑 공동대표는 “정부에서는 돈가상승으로 양돈장 경영에 별 어려움이 없는것 처럼 발표하고 있다”며 “양돈현장과의 시각을 좁혀 해결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농어업 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은 농어가소득증대 및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방안마련 등 농산어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및 정책활동을 목적으로 국회의원 32명이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