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위생·방역 관련 지원사업이 종돈업계에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4일 열린 대한양돈협회 양돈방역대책위원회(위원장 하태식)의 ‘종돈장 및 돼지AI센터 PRRS 청정화(안정화)를 위한 간담회’<사진>에서 종돈업계 참석자들은 정부의 지원사업에 후순위로 밀리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같이 입을 모았다. 이들은 하태식 위원장의 주재하에 대전 유성 홍인호텔에서 가진 이날 회의에서 PRRS 피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종돈장과 AI센터부터 청정화돼야 한다는 기본 원칙에 공감했다. 그러나 종돈장의 PRRS 청정화를 위해서는 각종 채혈검사비용과 도태 및 입식비는 물론 시설개선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자금 투입이 불가피, 대부분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돼지AI센터도 웅돈의 접촉감염의 기회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적은 개체수에 따른 감염경로 차단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잇점을 가지고 있으나 영세적인 경영구조로 인해 PRRS 청정화 노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정부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PRRS 청정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위생·방역 지원사업에서 후순위로 밀리거나 비육돈 농장과 구분돼 사업대상자에서 아예 제외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 참석자는 “설령 정부 지원대상자에 포함된다고 해도 같은 지역에서 경합이 이뤄질 경우 종돈장과 AI센터의 주요고객인 비육돈 농장에 양보할수 밖에 없다”며 “개체수가 적은 돼지AI센터는 아예 지원 자격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들은 따라서 위생방역 지원사업의 경우 처음부터 종돈장과 AI센터를 우선 순위에 두는 방안이 적극 검토돼야 할 것으로 주장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PRRS 검사의 신뢰성 확보와 함께 양성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준 제시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돈장의 PRRS 목표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청정화가 돼야한다는 원칙론과 국내 현실을 감안해 일단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현실론이 공존하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따라 대한양돈협회는 전문가들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종돈장과 AI센터에 대한 청정화 대책을 마련, 그 관철을 위해 정부와 국회 등 관계요로에 대한 활동을 집중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