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협회(회장 김동환)는 전북 익산 소재 (주)하림 본사를 항의 방문<사진>한데 이어 모돈 3천두규모의 하림 소유 양돈장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논산시청을 찾아 양돈인들의 강경한 입장을 전달했다. 지난 4일에는 농어업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소속 32명의 위원들에게 국회차원의 협조를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한편 각 지부 사무실은 물론 돼지출하차량 부착용 프랜카드까지 일괄 제작 배부했다. 특히 지난 8일 하림의 양돈업진출 반대를 위한 양돈인 서명이 3천명을 돌파함에 따라 이같은 양돈인들의 여론을 청와대와 정부, 정치권 등 관계요로에 전달하고 정책자금 회수 및 사용처에 대한 감사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김동환 양돈협회장을 비롯한 회장단과 각도협의회장, 고문과 원로, 충남·전북 지역 지부장 등 150명으로 이뤄진 항의방문단은 지난 1일 하림 본사 정문앞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하림이 대상팜스코 마저 인수할 경우 육계와 마찬가지로 양돈농가들이 위탁농가로 흡수돼 상당수 전업농을 말살시킬 것”이라며 “계열화사업의 미명아래 전업양돈농가를 위협하는 특정기업 중심에 수직계열화의 가속화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양돈협회는 따라서 대상팜스코 인수와 수직계열화사업 및 모돈 3천두의 대규모 양돈장 설립을 즉각 중단하고 종돈·돼지사육분야는 전업농에게 맞기되 사료와 육가공, 유통중심의 수평계열화사업으로 전환하는 등 모두 5개항을 하림에 요구했다. 김동환 양돈협회장은 이날 하림측에 대해 “선진과 대상팜스코를 합쳐 시장점유율이 4~5%에 불과하다고 하지만 사료와 가공, 유통기반까지 확보한 하림의 시장장악력은 급속히 확산될 가능성이 높을 뿐 만 아니라 타기업의 양돈업진출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럴경우 전업양돈농가들에게는 어떠한 선택권도 주어지지 않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농민 소비자단체와 연계한 불매운동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 무기한 항의 투쟁에 나설 것”임을 밝히고 협회가 제시한 시한내에 하림측의 명확한 입장표명을 요구했다. 이에대해 하림측은 “육계계열화사업의 경우 농가협의회까지 구성, 상호 대등한 관계에서 사업이 이뤄지고 있으며 상당수 농가들이 억대의 수익을 올리는 등 안정경영이 되고 있는 만큼 ‘종속관계’ 라는 시각은 오해”라는 해명과 함께 계열화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양돈농가들의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미 진행중인 사업을 중단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양돈협회의 요구 수용에는 난색을 표출, 향후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