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양돈대책 실무자협의회 불참”

대표조직 백지상태서 재논의 안되면

이일호 기자  2008.08.20 16:02:4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김동환 회장, “정부방침 고착화 의도”…농식품부 “협의 주제서 제외”

김동환 대한양돈협회장<사진>이이 “백지상태에서 양돈대표조직에 대한 재논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농림수산식품부의 양돈산업안정대책 마련을 위한 실무자협의회에 협회는 참여치 않겠다”고 밝혔다.
김동환 회장은 지난 18일 정부 주도하에 출범한 실무자협의회에 대해 “양돈협회의 반발을 감안, 자신들이 마련한 양돈대표조직을 우회적으로 합리화·고착화 시키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실무자협의회의 논의대상에 ‘품목조직’ 이 포함돼 있는 것도 이미 결론을 정해놓고 구색을 갖추기 위한 명분을 만들겠다는 의도가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
실무자협의회 구성원들이나, 논의 대상 전분야에 두루 포진된 농협과는 달리 양돈협회의 경우 특정부문에 국한해 배치된 점 역시 양돈대표조직 마련 당시의 정부 시각이 그대로 적용된 것으로 분석했다.
김동환 회장은 “정부의 양돈대표조직은 양돈협회와 충분한 협의나 조율 과정을 거치지 않은‘사생아’인 만큼 수용할 수 없음을 이미 밝혔을 뿐 만 아니라 그 입장은 절대 바뀌지도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양돈협회의 역할과 정체성이 사라질수 밖에 없는 양돈대표조직 강행의 수단으로 활용하려 한다면 실무자협의회에 참여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양돈대표조직과 관련한 정부의 태도는 “현장의 이해가 최우선” 이라는 장태평 농식품부장관의 ‘농정원칙’ 에도 어긋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특히 정부가 양돈대표조직에서 보여준 생산자단체의 기능분산 목적이 비단 양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만큼 모든 농민단체는 그 심각성을 인식해야 할것임을 강조했다.
김동환 회장은 다만 “대표조직에 대한 양돈협회의 요구를 무조건 수용하라는 것은 아니다”며, “정부가 기존의 틀은 잊고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양돈협회도 얼마든지 재논의 나설수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서울 양재동 aT센터의 양돈자조금사무국에서 열린 실무자협의회 첫 회의에서 정선현 양돈협회 전무이사도 이러한 협회 입장을 전달하며 정부의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대해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품목조직에 대한 논의는 다른 업종에만 해당되는 것”이라며 “양돈의 경우 이미 대표조직 육성방안이 확정됐고 진행형인 만큼 (실무자협의회에서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관계자는 이어 “실무자협의회는 얼마전 양돈산업발전 T/F팀에서 제시된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고 현실적으로 보완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제, “특히 생산성 향상과 방만히 운영되고 있는 컨설팅 및 교육시스템의 체계화 방안 마련에 기대가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