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돈의 농장검정을 의무화 하되 그 비용을 국가가 전액 부담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종축개량협회 김윤식 종돈개량부장은 최근 열린 ‘종돈의 농장검정활성화 협의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윤식 부장에 따르면 순종돈 생산을 위한 국내 원종돈 사육규모는 모두 1만두 수준으로 검정비용을 두당 평균 7천원 정도로 볼 때 연간 7억원이면 100% 검정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됐다. 김 부장은 “종돈의 경우 국내 사육 암소 대부분이 검정을 받아야 하는 한우 등과 비교할 때 검정을 통한 개량 대상 개체수가 극히 적다”며 “따라서 예산 투입을 최소화 하면서 큰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검정성적을 토대로 한 우수 유전자 선발이 산자수 증가로 이어지는 경우만 감안하더라도 정부가 투입한 비용의 백배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것이다. 김윤식 부장은 이와 병행해 농장검정을 의무화한다면 종돈업계의 구조조정을 유도, 궁극적으로는 GGP와 GP의 확실한 구분이 이뤄지면서 농장별 전문성 확보라는 시너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