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기업화가 곧 경쟁력’ 주장 옳지 않아 하림 “계열화 정착…계육 92% 자급률 배경” 장관, 기업·농민 상생할 수 있는 정책지원 이 자리에서 김동환 회장은 황 의원이 하림의 양돈진출 반대 이유를 묻자 기업이 할일과 농민이 할일 따로 있는 게 아니냐며 하림이 육계사업을 하면서 전업농은 몰락하고 위탁 사육농으로 전락했다고 설명하고, 하림이 양돈에 진출하게 되면 이런 일이 양돈산업으로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외국의 경우 기업이 진출하는 사례도 있지만 전업농 중심으로 한 덴마크의 MSY는 25두인데 반해 기업형인 미국의 MSY는 18두로 기업화가 곧 경쟁력이라고 볼 수 없음을 잘라 말했다. 하림이 육계농가와 양돈농가들로부터 신뢰가 낮고 비양심적인 기업이라는 비판을 듣고 있는 것은 농가에게 불리한 지금까지의 육계계약 사육조건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동환 회장은 따라서 계열화에 대한 불안감과 거부감이 양돈시장에서 매출규모 1, 2위인 선진과 대상팜스코의 인수에 반대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만큼 국내 계열화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독점적 자본의 우월적 지위로 인해 전업농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철저한 감독을 요구하는 한편 수직계열화 보다는 수평계열화가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러면서 이윤 추구가 기업의 최대 목적인 만큼 사업성이 떨어지면 양돈산업에서 손을 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럴 경우 산업이 무너질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김동환 회장은 특히 “하림그룹의 이번 대상팜스코 인수시 정책자금이 흘러들어간 것이 아닌지 의문”이라며 정책자금이 제대로 사용됐는지 감독해 달라는 요구도 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김동환 회장의 말을 듣고 어떤 생각이 드느냐”는 황 의원의 물음에 하림계열 육계농가의 소득은 타농가보다 2배 이상이라며 육계사업이 과거에는 투기성이었던 것에 비해 지금은 안정적인 사업이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의 육계계열화는 90%이며, 미국의 경우 99%에 달하고 있다는 것. 그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진출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히며 돼지고기 자급률이 74%인데 비해 5년전 60%에 불과했던 닭고기 자급률이 92%에 달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소득도 증가한 사실이 그 증거라고 분석했다. 특히 외국의 경우 거대기업들이 축산물을 생산해 내고 있는 상황임을 설명하고, ‘비양심적 기업’ 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여 항변했다. 김홍국 회장은 “20여년전 양계업에 뛰어들어, 지금은 600농가와 함께 계열화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들 농가 중 96%가 만족하고 있으며, 평균 농가소득이 8천5백만원에 달할 뿐 만 아니라 25%는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상팜스코를 인수하더라도 양돈시장 점유율은 4.7% 수준에 그치고, 그나마 사육부문은 3%도 안 될 것이라며 특히 (직영농장의 경우) 농가가 할 수 없는 GGP사업에만 국한될 것임을 설명했다. 정책자금으로 대상팜스코를 인수했다는 주장도 일축했다. 김홍국 회장은 하림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에서는 올해 6백억원 이상의 경상이익이 전망되는 만큼 잘 되는 회사에서 인수한 것이지 하림에서는 한 푼도 인수자금도 들어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하림의 경우도 AI로 인해 적자를 기록했지만 앞으로 흑자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계사업을 하면서 17년동안 정부시책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은 것 뿐이라고 전제, “현재 잔액은 464여억원으로 아마 정부로부터 융자로 지원받은 정책자금으로 하림처럼 효율성 있게 쓴 사례도 없을 것”이라며 항간의 특혜 의혹을 불식시켰다. 김홍국 회장은 여상규의원과 신성범의원 등이 계열농가와의 계약조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다시한번 유권해석을 받아 문제점이 지적되면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기갑의원, 황영철의원 등은 이와 관련해 그동안 정부가 해 온 역할이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이에 대해 “민간 기업에서 회사를 인수해 양돈업에 진출하는 것과 정책 사업은 별개”라며 선을 긋고, “이 일에 정부가 개입해서 기준을 제시한다던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기업과 농민이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통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 장관은 의원들이 계열농가와의 계약 내용의 문제점을 낱낱이 지적하면서 ‘직무유기’로 밀어붙이자 “여기(하림)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만큼 다른 곳도 면밀히 검토해 보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600농가 중 96%의 농가가 만족해하고 있다는 김홍국 회장의 답변에 대해 김학용 의원 등이 신뢰성 문제 등을 제기하며 “공정한 기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라”고 요구하자 수용의사를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