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육협회로 확대 개편…정책기능 담당케 대한양돈협회가 생산자단체 중심의 양돈대표조직 육성을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양돈협회(회장 김동환)는 양돈대표조직 육성(안)과 관련, 최근 이같은 입장을 농림수산식품부에 전달했다. 양돈협회는 농식품부가 추진하고 있는 양돈대표조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공감했다. 시장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에서 유통, 수출, 연구에 이르기까지 주체적 관리가 가능한 전국 대표조직의 출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양돈협회는 그러나 대표조직의 구성이나 운영에 대해서는 입장을 달리했다. 협회조직을 돈육협회로 확대개편, 정책중심의 대표조직으로 육성하되 농협과 민간기업을 경제대표조직으로 각각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양돈농가외에 양돈관련단체까지 돈육협회에 포함시키되 협회 중앙회를 정부 양돈정책파트너로, 9개도협의회와 1백18개 지부의 경우 광역도시 및 기초 지자체의 돈육정책 파트너로서 각각 역할을 담당토록 하자는 것이다. 특히 농협조직과 조합 등은 경제기능(판매영역)을 담당토록 하는 등 그 기능과 역할을 확실히 구분해야 한다는게 협회의 입장이다. 이럴경우 정부의 대표조직상 ‘돈육산업위원회’의 기능은 돈육협회의 자문기구 수준으로 축소된다. 이는 생산자단체인 양돈협회와 조합, 계열업체, 도축·가공업체, 유통·판매업체, 소비자단체 등 25명 내외의 집단 운영체제를 표방하는 돈육산업위원회를 구성, 수급조절에서부터 자조금사용, 농가 권익보호 및 현안에 이르기까지 산업전반에 대해 총괄 심의토록 함으로써 사실상 대표조직의 최고의결기구라는 지위를 부여하겠다는 정부 방침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양돈협회는 이에대해 대표조직의 주된 내용이 정책결정과 경제기능임에도 불구, 정부는 브랜드 통합만 되면 경제기능을 통해 대표기능을 수행할수 있을 것으로 잘못 판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표조직 육성방안이 농협조직 브랜드 통합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3천여 전업 양돈농가 가운데 4백50여 농가만이 농협브랜드에 참여, 대표성이 미약하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농협과 민간단체로 구성된 대표조직에 모든 권한이 부여될 경우 경제논리에 따라 양돈농가들은 결국 위탁농가로 전락될 것으로 우려했다. 김동환 양돈협회장은 이와관련 “정부는 감귤산업이나 미국의 선키스트 등을 벤치마킹, 대표조직을 만들려고 하지만 과일 단일품목과 돈육산업은 그 산업규모와 범위가 근본적으로 다른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할 것”이라며 “지난 30여년간 양돈정책 대표기능을 수행해온 양돈협회 조직을 확대, 정책기능 대표기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