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은주의 한우시황(10월15일~11월15일)

국내산 공급 증가·수입육은 감소…등급간 가격차 커져

기자  2008.10.15 11:20:52

기사프린트

 
추석이후 송아지 입식 증가…경매시장 강보합세


9월은 쇠고기 소비가 많은 추석과 각 지자체 단위의 한우축제행사를 통한 소비홍보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한 달이었다.
9월 평균 경락시세를 보면 전월대비 한우 103.1% 상승(암105.8%, 수 103.0%, 거세우 103.4%), 육우 102.1% 상승(암 107.8%, 수 107%, 거세우 101.8%), 젖소 암소가격이 112.3% 상승해 전체적으로 전월대비 상승했다. 한우 산지가격 또한 한우암소(600kg기준)는 전월대비 102.8%, 한우 수소(600kg 기준)는 103.5% 상승했다.
원인을 분석하면 최근 3개월간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총 도축두수가 전년 동기대비 112.4%가 증가해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은 증가했다. 축종 성별로 보면 한우 121.5%(암 124.8%, 수 128.2%, 거세우 114.5%)로 21.5%p 증가했으며, 육우는 전년 동기대비 87.6%(암 84.3%, 수 88.1%, 거세우 88.7%)로 22.4%p 감소, 젖소 암소는 87.3%로 22.7%p 감소했다.
고급육 생산량이 증가한 것 또한 주목되는 부분이다. 육질등급 출현율을 보면 한우 암소 1+ 이상 출현율은 24.6%로 전년 동기(27.6%) 대비 3%p 감소했으나, 한우 거세우는 1+이상 등급 출현율이 43.2%로 전년 동기(39.7%) 대비 3.5%p 증가했다. 육우 거세우 2등급이상 출현율이 56.4%로 전년 동기대비(52.8%)대비 3.6%p 증가했다.
쇠고기 수입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7월부터 8월까지의 쇠고기 수입량은 3만1천681톤으로 전년 동기 3만5천185톤 대비 10%정도 감소했다.
수요측면을 보면 추석 명절로 인한 쇠고기 소비량이 증가했다. 또한, 수입 쇠고기 수입량 감소 및 미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 심리로 인한 소비량 감소가 큰 것으로 보인다.
 
특히 7월~8월 쇠고기 수입량 중 미산 쇠고기 점유율이 약 24.0%를 차지했으나 미산 쇠고기 안전성에 대한 불안 심리로 인하여 백화점 및 대형할인마트에서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산 쇠고기 판매부진으로 인하여 수입 쇠고기 공급량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부위별 쇠고기 수입량을 보면 전년 동기대비 갈비수입량이 10.8% 증가한 반면 등심과 앞다리는 감소해 정육 공급량이 감소했다. 한우 암소 공급량 증가 및 학교급식 한우 거세우 1등급이상 쇠고기 소비 대체로 인해 한우 수소 및 한우 3등급 소비처는 상대적으로 감소. 전년 동기대비 한우 수소 27%, 한우 거세우 3등급은 22.3% 하락했다.
쇠고기 소비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경기침체로 분석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국내산 공급량은 증가했고, 수입 쇠고기 공급량 감소로 수급조절이 됨으로서 시세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9월 부분육 시세를 보면 전월대비 고급부위(등심, 안심, 채끝)및 특수부위와 갈비는 강세를 보였으나 일반 정육부위는 약보합세, 부산물 가격은 약세를 보였다.
9월 시세의 특징은 등급 간에 가격차이가 더 크게 벌어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우 거세우는 3C등급 지육경락단가를 100으로 보았을 때 1++A등급의 시세를 보면 314%이다. 육우 거세우는 3C등급대비 1++B등급의 시세를 보면 200.4%이다.
이러한 현상은 쇠고기 소비 시장이 양극화 되면서 더욱 더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어 농장의 생산성에 따른 수익성도 양극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지시세는 비거세우의 경우 수요처가 없는 관계로 9월 평균 생체 kg당 5천900원~6천원, 한우암소는 공급량 과다로 인해 생체 kg당 6천900원~7천원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추석물량 출하 후 입식을 하면서 전체적으로 송아지 가격이 약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며 송아지 자질에 따른 가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9월말기준 생후 4~5개월령 암송아지는 140만원내외, 수소는 153만원내외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송아지 경매시장은 송아지 가격이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에도 송아지 시세는 보합세~약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천하제일사료 축우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