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관련 보고사례 없어…충분한 과학적 검토 요구 배합사료용 항생제 사용 규제를 놓고,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지 못한 채 오히려 오남용만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라 제기됐다. 지난 20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동물용 항생제 관리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이문한 서울대 교수는 “약은 유용한 것이다. 단지 오남용 때문에 문제가 불거진다”며 “수의사 처방제가 도입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사료첨가용 항생제 사용규제가 자칫 농가들의 항생제 자체구입을 늘리는 ‘풍선효과’만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항생제를 늘 접하고 있는 수의사, 농장주, 사료공장 종사자 조차 항생제 내성과 관련해 보고된 사례가 없다”며 과학적 연구가 충분히 이뤄진 후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미국 엘랑코의 슈록 박사는 “사료공장에서는 항생제 사용을 기술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농장의 경우 배합기계가 없어 혼합도가 나빠지고 이는 다시 오남용을 불러올 가능성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슈록 박사는 특히 “소를 많이 키우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돼지나 닭을 많이 키우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수치만으로 한국이 항생제를 많이 쓴다고 단정해서는 안된다”고 설명했다. 독일 바이엘연구소에서 일하는 오토워링 박사는 “사료첨가용 항생제 사용을 금지시킨 유럽의 경우 당초 사용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농가에서 치료용 항생제 사용이 더 많이 늘어났다”며 신중한 정책추진을 피력했다. 이에 대해 장기윤 농림수산식품부 동물방역팀장은 “이번에 포함된 사료첨가용 항생제 규제 품목은 내성률이 높고 인수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약품에 한정하고 있다”며 식품안전이 우려된다면 사전적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은 정부가 마땅히 해야할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소비자에게 가장 안전한 식품을 공급하는 것이 최우선 정책과제다.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는 농가에서의 사용량 증가도 수의사처방제가 마련돼 곧 실시된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