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업계 “해양배출 중단 대비 지원확대 시급” 가축분뇨 개별처리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돈농가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들어 개별처리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이 감소하면서 신규시설을 희망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양돈농가들이 자금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 영동에서 모돈 5백두규모의 비육돈농장을 운영하는 한 양돈농가는 “우리지역에서는 1년에 한농장도 개별처리시설 지원을 받기 힘든 실정”이라며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내구연한이 다됐지만 새로운 시설 도입을 위한 예산을 자부담만으로 해결해야 상황이다 보니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다보니 생산자단체인 대한양돈협회에도 개별처리시설 지원에 대한 문의와 대책을 요구하는 양돈농가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추세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 및 지원이 집중되면서 개별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원규모가 감소하거나 예산확보 자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공동자원화시설이나 액비유통센터만으로는 오는 2012년 중단될 해양배출 가축분뇨 물량을 100% 대체할수 없다는게 기정사실인 만큼 개별처리시설 능력을 최대한 확보해 놓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더구나 공동자원화시설의 경우 아무래도 중소규모 이하 농가들의 참여가 많은 반면 그 이상 사육규모 농가 뿐 만 아니라 해양배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상당수 농가들이 개별처리시설을 통한 가축분뇨 처리에 비중을 두고 있는 현실이 감안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 역시 해양배출 감축대책을 마련하면서 공동자원화시설을 통해 50%, 액비유통센터 20%, 개별처리시설에서 30%를 각각 대체하겠다는 방침을 제시한바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의 추세가 지속될 경우 자칫 해양배출 중단시 적잖은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치 못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따라서 공동자원화사업 외에 개별처리시설에 대한 지원도 현실화, 해당 농가들의 시설보완이나 신규시설이 원활히 이뤄질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는 게 양돈업계의 한결같은 여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