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육우 사육마리수와 돼지 사육마리수는 증가한 반면 닭 마리수는 줄었고, 젖소 사육마리수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표 참조 통계청이 9월 현재 조사한 가축사육통계 결과에 따르면 한육우 마리수는 247만두로 전분기보다 2만2천두(0.9%) 증가했다. 젖소 마리수는 44만5천두로 전분기와 동일하고, 돼지 마리수는 928만4천마리로 전분기보다 13만1천두(1.4%) 늘었다. 육계 마리수는 5천5백55만5천마리로 전분기보다 2천2백29만8천마리(-28.6%) 감소했고, 산란계 마리수도 5천8백20만마리로 전분기보다 1백52만3천마리(-2.6%) 줄었다. 한육우 산지가 하락 따른 출하 기피…247만두 집계 젖소 전분기와 같은 44만5천두…가구당 62.1두 사육 돼지 소비 증가·가격 호조로 1.4% 늘어난 9백28만두 육계 여름·올림픽 특수 끝나 전분기 대비 29% 감소 ■한·육우=한육우 마리수는 247만마리(한우 2백30만마리, 육우 16만9천마리)로 사료가격으로 인한 사육포기 농가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광우병 논쟁으로 인한 소비부진 및 산지가격 하락에 따른 출하기피로 전분기보다 2만2천두(0.9%) 증가, 전년동기보다 25만두(11.3%) 증가했다. 사육가구수는 18만6천호로 전분기보다 4천호(-2.1%) 감소, 전년동기보다 2천호(-1.1%) 줄었다. 가구당 사육마리수는 13.2두로 전분기보다 0.3두 증가, 전년동기보다 1.5두 늘었다. ■젖소=젖소 마리수는 44만5천마리로 사료가격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 쿼터량 조정 추진, 두당 원유량증가 및 저능력우 도태 등으로 전분기 44만5천마리와 같으나 전년동기보다는 1만두(-2.2%) 줄었다. 사육가구수는 7천2백호로 전분기보다 증감이 없으나 전년동기보다는 6백호(-7.7%) 줄었다. 가구당 사육마리수는 62.1두로 전분기보다 0.4두, 전년동기보다 3.8두 늘었다. ■돼지=돼지 마리수는 9백28만4천마리로 AI 및 광우병 논쟁으로 닭·쇠고기의 대체육으로서 소비증가 및 가격호조로 전분기보다 13만1천두(1.4%) 증가했으나,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소규모 양돈농가의 폐업이 늘어 전년동기보다 37만5천두(-3.9%) 줄었다. 사육가구수는 7천8백호로 전분기보다 2백호(-2.5%) 감소, 전년동기보다 2천4백호(-23.5%) 줄었다. 가구당 사육마리수는 1천1백84마리로 전분기보다 45마리, 전년동기보다 2백40마리가 늘어 꾸준한 규모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닭=육계 마리수는 5천5백55만마리로 여름 및 베이징 올림픽 특수가 끝나 입식감소로 전분기보다 2천2백30만마리(-28.6%) 감소, 산란계는 5천8백20만마리로 전분기보다 1백52만마리(-2.5%) 줄었다. 닭 사육가구수는 3천3백31호로 전분기보다 4백30호(-11.4%) 감소, 전년동기보다 2백96호(-8.2%) 줄었다. 가구당 사육마리수는 육계 4만마리, 산란계 3만4천마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