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량 美쇠고기 57% 차지…갈비 255% 급증 10월은 9월에 이어 지자체 단위의 한우축제행사를 통한 소비홍보와 대형할인마트의 쇠고기 판촉행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한 달이었다. 10월 평균 경락시세를 보면 전월대비 한우 103.1%로 상승하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 105.3%, 수 102.9%, 거세우 103.4% 이다. 반면에 육우는 전월대비 95.4%로 4.6%하락하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 95.7%, 수 101.4%, 거세우 94.7% 이다. 젖소 암소가격은 전월대비 111.1%로 11.1% 상승하였다. 전월대비 등급별 경락가격을 보면 한우 암소 1++는 보합세, 1등급~3등급 강세, 한우거세우 1++~2등급 보합세, 3등급은 강세를 보였으며, 육우 거세우는 1++는 보합세, 1등급~3등급까지 약세를 보였다. 육우 거세우 가격의 약세는 음식점원산지표시제의 영향으로 보인다. 한우 산지가격 또한 한우암소(600kg기준)는 전월대비 106.5%, 한우수소(600kg) 기준 104.5% 상승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육우 암소 및 육우 거세우는 약세, 한우 거세우와 한우 암소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송아지 시세는 추석물량 출하 후 입식 및 현재 송아지시세가 하한가로 보고 일부 입식을 하면서 송아지 가격은 전월대비 강세를 보였으며, 10월부터 11월초까지 송아지 시세를 보면 한우 암송아지는 140만원~142원, 수송아지는 153만원 ~ 156만원에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송아지 경매시장 또한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전월대비 쇠고기 부분육 경매시세를 보면 한우 등심, 한우 특수부위, 계절적인 영향으로 사골 및 잡뼈가 강세를 보였다.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전년동기대비 도축두수 및 출하체중증가로 국내 쇠고기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미산 쇠고기 수입량 증가로 인하여 쇠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공급량은 많이 증가하였다. 첫째로 10월 도축두수는 66,642두로 전월(84,257두)대비 79.1%로 20.9%감소하였으며 전월대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76.6%(암소 72.5%, 수소 57.0%, 거세우 97.5%), 육우 75.3%(암소 53.0%, 수소 86.2%, 거세우 82.8%)로 감소 하였으나, 젖소 암소는 118.9%로 증가하였다. 전년동기대비 도축두수는(54,720두) 121.8% 증가하였으며 한우 127.9% (암소 125.4%, 수소 137.5%, 거세우 127.2%), 육우 104.7%(암소 94.4%, 수소 107.1%, 거세우107.5%) 증가하였으며, 쇠고기 생산량은 평균 출하체중이 9.3kg 증가하여 전년대비 약 125% ~ 130% 증가하였다. 또한 한우 암소는 1+이상 등급 출현율은 23.9%로 전년동기대비 2% 감소하였으며, 한우 거세우는 1+이상 등급 출현율이 46.2%로 전년동기대비 4.9%증가하여 전체적으로 한우 고급육 공급량은 증가하였다. 둘째 쇠고기 수입량을 보면 2008년 9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쇠고기 수입실적으로 보면 38,191톤으로 전년동기대비(28,349톤)대비 134.7% 증가하였으나 부위별로 보면 갈비 수입량이 15,641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54.5% 증가하여 주로 갈비 수입량이 급증하였다. 국가별로 보면 상기 그래프를 보면 미산 쇠고기 수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전체수입량의 56.2% ~ 57.2%를 점유하고 있다. 부위별 미산 쇠고기 수입량을 보면 갈비, 등심, 목심, 양지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요측면을 보면 대형할인마트의 쇠고기 판촉행사 와 지역별 한우 축제 및 직거래 시장을 통한 한우 소비층 증가. 한우 정육점 식당 증가 등으로 인하여 한우 쇠고기 소비량은 증가하였으나 음식점원산지표시제 실시에 따른 수입 쇠고기 소비는 미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 심리로 인하여 백화점 및 대형할인마트에서 판매 부담 및 소비자의 미산 쇠고기 구입을 외면하면서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국내산 공급량은 증가와 미산 수입 쇠고기 판매 저조로 인하여 공급량이 감소하여 쇠고기 수급량이 조절되면서 한우 가격은 강세를 보였다. 향후 시세를 예측하면 한우시세는 1++는 보합세, 1+ ~ 1등급는 강보합세, 2등급~3등급은 보합세가 예상되며, 육우 거세우는 약보합세~보합세가 예상된다. 반면에 산지시세는 한우 암소는 현재 생체 kg당 7,400원~7,600원에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으나 거세우 가격 상승 및 미산 쇠고기 판매 저조로 인하여 보합세~강보합세가 예상되며 한우 수소는 약보합세~보합세가 예상된다. 또한 향후 송아지 시세는 입식으로 인하여 보합세~강보합세가 예상된다. 전체적으로는 향후 시세는 미산 쇠고기 소비여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량 감소여부가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천하제일사료 비육우P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