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PRRS 청정종돈장 명단 공개

농식품부, 항체·항원 음성 대상…세부대책 수립중

이일호 기자  2008.12.24 10:55:0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종돈업계 “양성농장 발표와 같아…청정화 기반부터”

PRRS 양성종돈장이 일반농가들에게 알려지게 돼 종돈업계가 부심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PRRS 청정화 종돈장 명단을 생산자단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한다는 기본방침을 마련했다.
특히 종돈장방역실시요령에 의거, 의무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PRRS 항원검사 뿐 만 아니라 항체검사 결과에서도 음성인 종돈장만 공개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구체적인 방법과 일정은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농식품부가 이달 중순부터 전국 지자체를 통해 ‘종돈장 방역관리 강화를 위한 PRRS 항체추가 검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빠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PRRS 청정종돈장 공개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치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종돈장방역실시요령이 또다시 개정돼 PRRS 항체검사까지 의무화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종돈장 청정화가 전제되지 않는 한 각종 질병 피해 해소를 기대하기 어렵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따라서 양돈농가들에게 농장 선택의 기준을 제시, 자연스럽게 종돈장 청정화를 유도할수 있을 것”이라고 그 배경을 밝혔다.
일부 종돈장들은 이에대해 PRRS 청정종돈장을 대상으로 이뤄진다고 하지만 사실상 양성농장 명단 발표와 같은 조치인 것으로 분석, 그 파급여파를 감안해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종돈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PRRS 항원검사를 의무화 한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항체검사를 별도로 실시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우선 항원검사가 제대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청정화가 정부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면 그 기반부터 마련하는게 순서라고 주장했다. 국내 종돈장 대부분이 청정화를 희망하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가 불가피한데다 이전이 불가피한 종돈장의 경우 신규부지 확보조차 어려워 실행에는 옮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한 종돈장 대표는 “양돈농가들의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청정농장 명단이 발표된다면 PRRS 안정화 농장 역시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있는 농장들과 똑같이 취급되고 말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들은 따라서 이러한 국내 현실을 감안, 정부차원에서 PRRS에 대한 방향을 명확히 하되 그에 따른 지원책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지금 현재로선 그 수용 가능성이 불투명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