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돈수출기반확보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만들어질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16일 민승규 제1차관 주재하에 ‘종돈수출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방침을 마련했다. 이를위해 정부와 연구기관, 종돈업계 등으로 구성된 T/F팀을 구성, ‘종돈산업육성방안’을 마련해 차기 회의에서 재논의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종돈의 해외수출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종돈산업 육성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데 입장을 같이했다. 최근 종돈업계에서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은 만큼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출이 이뤄지더라도 자칫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와 종돈업계는 이에따라 우리 입맛에 맞는 돼지고기 생산을 뒷받침하는 한국형 종돈 개발 및 보급에 진력하는 한편 선진국의 종돈개량시스템 벤치마킹을 위한 연구용역 사업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해외시장 개척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수출대상국가와의 수입위생조건 등으로 인해 종돈수출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정부차원에서 적극 협조키로 했다. 한편 다비육종 윤희진 대표의 베트남 종돈수출사례 발표도 이뤄진 이날 회의에는 △농식품부 노수현 축산정책과장 △농협중앙회 오세관 상무 △종돈수출협의회 장성훈 회장 △돼지유전자협회 배상종 회장 △축산과학원 김명직 박사 △한국종축개량협회 김윤식 부장 △팜스코 민동기 대표 △농협종돈사업소 권영웅 소장 △서울사료 현영이사 등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