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한 수출농장인증제가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돼지수출연구사업단(단장 진길부)은 지난 1년여에 걸친 중간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제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사업단에 따르면 수출용돈육 생산을 위한 실태조사에 나선 결과 후기사료 급여를 비롯해 도축전 절식 및 계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출하시 전기봉을 사용한 구타가 여전히 성행하는 등 돈육품질 확보를 위한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의 상태라면 일본 생육시장이 완전히 열린다고 해도 현지 소비자들이 원하는 고품질의 균일화된 돈육 확보가 어려워, 안정적인 돈육수출을 기대하기 힘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사업단은 따라서 수출농장인증제를 도입, 지금부터라도 수출예비 농가를 조직화함으로써 본격적인 대일수출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전에 마련된 인증기준에 의해 참여희망농가를 평가, 그 결과에 따라 수출농가로 지정해 관리를 지속해 나가면서 인증농가수를 점차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과 덴마크, 네덜란드 등 주요 양돈국가에서도 품질 관리를 위한 각종 제도를 운영, 돼지고기 수출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단은 이를위해 과거 대일수출 당시 이뤄져 왔던 돼지고기 품질개선 단지 지원정책을 부활, 규격돈 생산장려금을 지원하고 각종 정책사업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수출농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또 사후관리를 통해 자격 유지여부를 판단,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탈락시키는 등 인증제 도입에 따른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이미 마련해 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단의 한 관계자는 “1차년도 사업기간 동안 수출농장 인증기준을 자체적으로 마련, 일정 점수 이상 농가들을 수출 예비농장으로 선정했다”며 “수출은 물론 전체적인 돼지고기 품질제고 차원에서라도 수출농장인증제가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