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호경 한우협회장 “발빠른 대응…소비자 불안심리 잠재워” 가축질병 근절제도 재정비 필요 남호경 한우협회장은 구제역 발생으로 지난해 교통사고로 다친 허리에 박은 핀을 제거하는 수술을 연기했다. 그는 “내가 수술을 미룬다고 해서 구제역의 전파가 느려진다거나 조기종식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지만 축산업계의 위기상황을 병원에 누워 보낼 수는 없다는 생각 때문에 예정된 수술을 3월로 미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한우의 두수가 거의 포화상태에 가까운 상황에서 구제역의 발생이 올해 설 한우소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될까 가장 크게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소비자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지 않은 것 같아 다행이다”며 “축산업계의 발 빠른 대응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구제역의 조기종식을 위한 농가의 노력과 아울러 이번 기회를 빌어 축산업계가 가축방역에 대한 긴장감을 유지하는 기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루셀라로 큰 홍역을 치른지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방역당국이나 축산농가 모두 그 동안 가축방역에 대해 소홀했음을 반성하고, 이번 기회에 우리 축산농가는 방역의식을 다지고, 방역당국은 가축질병에 대한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명심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구제역 뿐 만 아니라 브루셀라나 우결핵, 요네병 등 가축질병 근절을 위한 제도를 다시 한번 정비하고 전체 축산업이 한 단계 성장될 수 있도록 업계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호 낙농육우협회장 “산업 특성 고려 현실적 피해지원 절실” 우유판매 손실 반드시 보상돼야 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은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가장 바빠진 사람 중 하나다. 농식품부에 설치된 구제역T/F팀에서 매일같이 열리는 대책회의에 하루도 빠짐없이 참석하는가 하면 포천 상황실에 정관계 인사들이 방문할때마다 함께해 낙농업계의 피해상황은 물론 보상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승호 회장은 “자식같은 소를 하루아침에 차디찬 땅바닥에 파묻은 살처분 농가들이 느끼는 허탈감과 상실감은 상상 이상”이라며 “살처분을 당한 농가와 전화 통화할 때 아침에 깨어 무의식적으로 착유를 위해 축사를 향했는데 텅빈 우사를 보고 눈물을 흘렸다는 하소연을 듣고 정말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추운 날씨로 인해 소독에 어려움이 있지만 농가 스스로 보다 철저한 방역의식을 갖고 소독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살처분 조치된 농가는 물론 이동제한에 묶인 낙농가들의 어려움과 이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낙농의 특성상 목장이 정상 운영될려면 재입식 이후 적어도 2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실적인 보상대책이 절실하다”며 “우유생산 중단에 대한 손실보상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현재 농식품부에서는 6개월간 유대손실의 80%를 지원만으로는 부족한게 현실로 재입식 후 다시 정상적으로 우유를 생산할 때까지 손실분 전액과 고능력우에 대한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회장은 “경각심을 늦추지 말고 방역활동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동환 양돈협회장 “조기종식 총력…방역의식 다잡는 계기로” 원인규명 철저…재발방지 만전을 “구제역 조기청정화를 통해 우리 축산업계가 심기일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대한양돈협회 김동환 회장은 이번 구제역 발생은 국경검역과 차단방역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한번 일깨워 주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제 철저한 차단방역 없이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기대할 수 없는 현실을 농가들도 인식해야 한다”는 김 회장은 “생산성 측면에서도 최소한 MSY 2두 정도는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며 차단방역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러한 현장의 분위기가 방역당국의 철통같은 국경검역 노력과 어우러질 때 양돈을 비롯한 한국축산업은 당당히 축산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기청정화를 위해 충분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 역학기능을 대폭 강화돼야 한다는 주문도 잊지 않았다. 이번 구제역의 경우 아직까지 원인규명 조차 되지 않은 만큼 철저한 원인 규명과 함께 재발 방지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기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환 회장은 특히 정부의 초동대응이 나름대로 신속히 이뤄진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돼지 수매 등 양돈농가 피해 보상 방안에 대해서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했다. “구제역 발생의 원인이 농가에게 있다면 해당농가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가 이뤄져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런 잘못이 없는 농가들이 정부의 방역조치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다면 반드시 납득할 만한 보상과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