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공공처리시설 자원화이용 확대 ‘요원’

액비살포비용·장비 등 지원책 부재

이일호 기자  2010.02.22 10:30:39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액비유통센터도 외면…정부 방침 불구 ‘중수’ 활용 기대난

공공처리시설을 통한 가축분뇨 자원화 확대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정부 지원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그동안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에 배출되는 중간처리수를 액체비료로 활용함으로써 공공처리시설의 자원화 이용 확대를 적극 유도해 왔다.
이를위해 자원화가 가능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 국고보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지침’까지 마련할 정도로 강한 의지를 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국의 공공처리시설 가운데 중간처리수를 활용하는 사례는 거의 전무하다는게 양돈농가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해 초에는 감사원까지 나서 자원화 기능이 없는 정화처리 방식의 분뇨처리시설에 대한 국고보조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환경부의 개선과 함께 각 지자체에 대해 자원화 노력을 촉구했지만 전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액비로서 효과가 입증됐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공공처리시설 중간처리수의 자원화가 부진한 것은 공공처리시설과 경종농가간 연결고리 부재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중간처리수를 경종농가에 살포해 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액비 살포를 위해서는 충분한 농경지가 의무적으로 확보돼야 하는 만큼 개인이 아닌 각 지역 액비유통센터에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나 그나마 각종 운영비용 부담과 장비 부족으로 인해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액비유통센터 관계자는 “양돈농가에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고 경종농가에 살포하는 액비조차도 경제성 맞추기가 힘든 실정”이라면서 “이러한 상황에 살포장비는 물론 기본적인 소요비용까지 직접 부담해야 하는 공공처리시설의 중간처리수를 어느 액비유통센터가 처리하려고 하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액비 공급이 달린다고 해도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자원화 방식 중심의 공공처리시설 지원외에 생산된 중간처리수 살포비용과 장비 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대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