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약 유통시스템 총체적 점검 시급”

연이은 대형 도매상 부도…‘시한폭탄 공포’에 떨고 있는 동약제조업계

김영길 기자  2010.02.22 15:00:0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인력·관리비용 부담 적어 영세업체 쉽게 접근
쓰러지면 연쇄적 ‘쓰나미 피해’에도 대책 부재
지역거점 대리점·직판시스템 구축 대안 제기도

이달 초 한 대형 동물약품 도매상이 문을 닫으면서 동물약품 제조업계가 또 다시 ‘도매상 부도’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최근 2~3년 사이 매출액 기준으로 국내 5대 도매상 가운데 3~4개가 부도처리, 도매상을 중심으로 꾸려진 동물약품 유통시스템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대전에 있는 한 동물약품 도매상은 돌아오는 어음을 막지 못하고, 이달 초 부도를 냈다.
경영자간 불협화음이 원인으로 꼽히지만, 이번 부도 역시 동물약품 시장의 장기불황과 회사의 무리한 사업확장 등이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만, 부도 도매상이 성실한 채무이행을 밝히고 있는 만큼 제조업계의 피해는 과거 사례보다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되고 있다.
이번 부도를 보며, 제조업계의 한 관계자는 “도매상이 부도나면, 동물약품 업계가 자금순환에 1년 내내 허덕이게 된다. 피해가 크다. 예전의 경우 직원 월급이 모두 깎이기도 했다”며 도매상 행태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또 “지난 2007년 이후 잇따라 터지고 있는 대형 도매상 부도의 연장선이다. 언제든 다시 되풀이 될 수 있다. 부도피해를 막을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도매상의 대안으로는 지역거점 대리점 육성과 직판체계 구축 등이 제시된다.
그렇지만, 대다수의 국내 동물약품 제조업체들은 영세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력과 관리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도매상의 유혹을 떨쳐내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한 관계자는 “판매망 선정 등에서 좀더 세밀한 시장접근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품질경쟁력을 쌓으려는 노력을 진행해야 한다. 차별화된 품질력을 갖추고 있다면, 충분한 결제를 실현하면서도 유통업체와의 거래가 가능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