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구제역 확산과 관련, 장태평 농식품부 장관과 맹형규 행안부 장관 담화문을 통해 “국가적인 총력대응이 필요한 시기”라며 축산농가를 비롯 국민들에게 구제역 발생국가 방문을 자제하는 등 구제역 조기종식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태평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22일 담화문에서 “지난 8일 인천 강화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김포, 충북 충주 등으로 번졌고, 또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국가차원에서 조기종식을 위해 총력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소 뿐 아니라 돼지에서도 구제역이 확인됨에 따라 가축질병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높여서 방역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오늘부터는 농식품부 차관이 맡아오던 ‘중앙구제역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을 농식품부 장관이 직접 맡고, 모든 지자체에도 대책본부를 설치, 단체장이 책임지고 운영토록 했다”고 설명했다. 장 장관은 구제역 확산을 막으려면, 소독과 신속신고가 우선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 축산농가에게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의심가축 발견시에는 즉각 가축위생시험소,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등에 신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구제역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에 대해서는 “매몰처리된 가축은 시가로 보상하고, 생활안정을 위해 보상금의 50%를 미리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가축을 키우지 못하는 동안 생계안정자금을 지원하고, 다시 입식할 경우 가축시세의 100%를 융자금(3%, 2년거치 3년 상환) 형태로 제공키로 했다”고 밝혔다. 장 장관은 특히 국민협조가 있어야 구제역을 조기종식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차량소독과 이동통제시 불편이 따르더라도 불가피한 조치임을 알고, 이해해 주기를 부탁한다. 아울러 구제역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